천자문 해설 - 1

조회 수 29015 추천 수 21 2009.01.19 12:36:05
                   목      차


글 句 番 號        項    目                 備      考

01~ 10            천문(天文)        
11~ 18            자연(自然)        
19~ 36            왕업(王業)        
37~ 60            수신(修身)        수신 재가하며 생활을 바르게하며    
61~ 68            충효(忠孝)        나라를 사랑하고 효를 바르게하며
69~ 80            덕행(德行)        덕행을 솔선 수범하고 생활화하며  
81~ 92            화목(和睦)        집안에서 마을에서 서로 화목하며
93~102           인의(仁義)        어질고 정직한 행동을 바로하며
103~118         궁전(宮殿)        나라를 사랑하는 법도를 익히며
119~142         공신(功臣)        사회와 공익을 위하여 정직하며
143~152         재후(諸侯)        현인적 지도급의 좋은점을 익히며
153~162         지세(地勢)        국토와 지세의 정상관리를 살피며
163~168         농사(農事)        농사 노동의 힘 드는 것을  알며
169~178         수양(修養)        심신,품성,지식,도덕을 닦음과  
179~196         한거(閑居)        閑居를 하되 후인에게 모범을 보이고
197~200         신독(愼獨)        자기혼자 있을 때에도 어긋나는 일 삼가
201~206         식사(食事)        식사범절을 바르게 배우고 행하며
207~216         안락(安樂)        사치와 낭비를 행하지 말 것이며
217~220         제사(祭祀)        시대에 걸 맞는 가정의례를 준수하며
221~228         잡사(雜事)        잡사도 규범이 있음을 알며  
229~234         기교(技巧)        기교와 직업에는 귀천이 없음을 알라.
235~250         경계(警戒)        가정,사회,자신을 엄히 경계하라.

1.大自然과 政治, 倫理, 道德觀
2.王居와 臣下
3.國土, 防衛, 産業, 保健, 自肅
4.民生과 安居
5.市場과 流通과 技術과 保安


천자문 학습장(千字文 學習帳)

寫眞 과 그림 說明
宇宙하면 하늘과 땅을 總稱함이요, 宇宙內의 局部 한點을 地球로, 宇宙는 天의 집과 局部上의 집을 함께 보는 것이 되고, 큰집은 天의 집이요, 작은 집은 局部의 집이다. 집 주(宙)는 天의 집이요, 집 우(宇)는 局部上의 집, 그것은 地球上의 집을 말함이다.宇宙는 천주(天宙)의 포용(包容)모든 것, (日月星辰과 地球에 포함된 모든 것).
천체계(天體界), 은하계(銀河界)와 같은 巨大한 天體와 또 다른 萬物의 受容體 卽 無限의 집(宙)이다.
여기에서 限界에 關함과, 有와 無의 相對的, 限帶에 關하여 無限帶와 有限帶가 相對的이요, 天에 屬性(an attribute)槪念에서 사물이 지니고 있는 특징이나 성질. 대상개념에 대하여 빈사(賓辭)로 생각하면 명제에 있어서 주사(主辭)에 결합되어 그것을 규정하는 槪念. 즉 꽃은 붉다. 세월이 흐르다. "붉다"
"흐르다"따위. 賓槪念. 賓位. 客語에 관해, 공언하다(predicate)의 뜻에서 文法 述部, 述語. 論에서 賓辭. 哲에서 屬性을 말 하는 것으로, 그것은 天, 宙, 玄, 荒이라 表現하고, 地에 屬性, 그것은 宇, 地, 洪, 黃이라 表現한 것으로 본다.
설명을 돕기 위하여 宇宙의 表現은 無限帶의 空間에 V 形 4個를 東, 西, 南, 北에 位置하고, 宇, 地, 洪, 黃은 內로 位置하며 有限 帶와 無限 帶를 區分해 본다.
天, 宙, 玄, 荒을 外로 位置했다. 하고 보면 無限한 空間에 有限한 物體合을 하나의 構成體로 볼 때 이것은 宇宙로 表現함이 바른 것으로 生覺해 보았다. 中國의 梁武帝가 周興嗣에게 命을 했고, 命을 받은 그가 著述한 千字文에서 四字壹句로, "二句一對句" 한 짝이 되는 글句의 內容構成 方法을 여기에서 풀어確認했다. 글句에서 四字壹句를 읊은 글字 配置를 보면,        
前句...天地玄黃 壹句<-> 對句 <->宇宙洪荒 壹句...後句
天玄宙荒은 無限의 屬性領域<-屬 性->地黃宇洪은 有限의 屬性領域
(無限의 하늘과 有限의 땅은 검고 누르다)..(有限의 집과 無限의 집 사이는 넓고 끝이 없다)..조화의 영역..하늘과 검은 집은 끝이 없다..無限의 領域..땅은 누르고 집은 넓어도..有限의 領域이다. 無限과 有限의 對句關係를 正確하게 글字의 자리를 定한 四言古體敍事詩 이자, 敍事體,敍事詩로, 天地玄黃,
宇宙洪荒 에서 謂語助者,焉哉乎也까지 일관한 敍述(description)은 勿論이요 後世에 著者의 詩的本志를 正確하게 풀이를 할 수 있는 體系確立을 明白히 해 놓은 것 또한 分明한 事實이며 돋보인다.
無限領域=天宙玄荒,=主句 : 有限領域=宇地洪黃,=主句
하늘은 무한한 집으로 검고 끝 없는 것이다.(無限領域)  
집宇와 땅地는 유한하지만 넓으면서 누르다.(有限領域)
뜻 풀이는 主句 1, 3 뜻을 풀고, 들어온 客句 2, 4 順따라 차래 로 풀이 했다. 天地玄黃中 地,黃은 無限의 領域에 有限領域內의 個體가 調和를 이루었고, 宇宙洪荒中 宙,荒은 有限의 個體帶에 無限領域의 形容的 空間體로 賓辭的 調和를 이루었다.
兩者 共히 남의 領域에 들어 가는 쪽이 客體이다.
*結果는 句의 1과 3은 主體의 位置요, 2와 4는 客體의 位置로 假定 할 수 있다.
*이것은 先人들이 풀이해놓은 첫 對句인 天地玄黃,宇宙洪荒 에서 四言古體詩로 作詩해 둔 것임으로 充分한 理解가 될 것으로 思料된다. (이같은 千字文의 特徵을 發見하였다)
그 實體인즉 前域屬性에서 後域屬性에 貳字, 後域屬性에서 前域屬性에 貳字式 各各 바꾸어 配置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남은 248句 亦是 위와 같은 方法의 뜻풀이가 可能한 것인지 千字文 學習을 兼하여 檢討하는 學習帳始作과 整理에서. 黑 字는 主句요 赤 字는 客句로 표시하고. 글字의 色別屬性을 分明히 하면서 學習을 한 結果, 天地玄黃 宇宙洪荒에서 謂語助者 焉哉乎也까지 總250句를 180日間 學習끝에 얻은 것은 다음과 같다.
글 뜻풀이順序 1. 3. 2. 4 가 瑕疵 없음을 確認 함.


1   천 지 현 황 ( 天 地 玄 黃 )
1.하늘은 위에 있어 그 빛이 3.검고 2.땅은 아래 있는 고로 그 빛이 4.누르다. 하늘 천(天), 땅 지(地) ,검을 현(玄), 누를 황(黃), 黑字는 主句요 赤字는 客句이다, 색깔별로 속성이 같다. 이하 250구 모두를 이와 같은 방식으로 뜻을 풀이 한다.  

2   우 주 홍 황 ( 宇 宙 洪 荒 )
하늘과 땅 사이는 넓고 커서 끝이 없다.즉 세상은 넓고 한이 없음을 말한다. 지구 세상의 1.집 宇는 3.넓게 퍼져 있으나 그를 수용하는 하늘의 2.집 宙는4.끝없는 무한임을 말한다.집 우(宇), 집 주(宙), 널을 홍(洪), 거칠 황(荒)      
하늘과 땅 사이는 넓고 커서 끝이 없다.즉 세상의 넓음을 말한다. 집 우(宇), 집 주(宙), 넓을 홍(洪),거칠 황(荒), 천지로 시작된 이 천자문은 무궁하고 광대 무한한 대공간을 人類로 하여금 되새기게 한다. 책의 첫 머리에 天地와 宇宙의 상황을 설명하여, 그 내용을 장중심원(莊重深遠)하게 읊은 大敍事詩이다. 검을 현(玄)이란? 천지(天地)다음에 오는 현은 그 뜻이 천야(天也) 하늘 현(玄)이다, 또는 깊을 유(幽) 멀 원(遠) 유원(幽遠)의 뜻으로 아득할 현(玄),끝으로 흑색(黑色),적색(赤色)의 뜻에서 검붉을 현(玄) 하면 누를 황(黃)은 검붉음에 조화되니 말하자면 현담(玄談)이 있어야 함이요 헌담(玄談)이라 함은 멀고 깊은 이치를 말함이요 그 멀고 깊음을 마치 하늘과 땅 사이와도 같음에 비유를 하고본다. 우주홍황(宇宙洪荒)의 앞에는 천지현황(天地玄黃)일 수 밖에 없다.
위의 글을 현실감에 맞는 풀이를 해 보면 우주천문학에 통달을 하는 幽遠한 玄談을 말 그대로 천자문(千字文) 첫 구절인 천지현황(天地玄黃) 우주홍황(宇宙洪荒) 글자 8字에 압축을 해 두고 남은 992 글자에 골고루 안배하여 후속 설명을 한 것으로 영원하게 그 진리를 터득하고 이어 사실을 탐구하는 골격을 저술한 것이며 끝에 이르러 위어조자(謂語助者) 언재호야(焉哉乎也).한문의 조사(助詞) 즉 다음글자이다. 焉哉乎也 이 넷 글자는 즉 어조사이다. 그리고 천자문 저자가 자기자신을 겸손해서 말을 한 것과 적고 어리석어 몽매함을 면 치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고있다.
우주홍황(宇宙洪荒)의 우(宇)는 사람을 위시하여 동식물들과 물건을 수용하는 집으로서 빗물이 흐르도록 해주는 물받이 역할을 하고 거소(居所) 의미를 갖는 집.집 주(宙)는 천지지간(天地之間) 크고 넓은 공간 내에 존재하는 다물적(多物的) 만물(滿物)들, 태양계나 은하계와 같은 거대한 것들을 수용하는 천(天)에 하나 밖에 없는 큰 집이요, 한량(限量)이나 한도(限度) 한정(限定)이 없는 무한(無限)한 거대함이요 한시(限時,무한대(無限帶:infinity)의 뜻으로 풀이를 하며 거칠고 잡다(雜多)한 것, 모든 것을 허용과 수용 그리고 포용을 하는 엄연한 존재이다.

3   일 월 영 측 ( 日 月 盈 仄 )
해는 서쪽으로 기울고 달도 차면 점차 이지러진다. 즉 우주내의 천체(天體) 움직임과 동향을 말함.

4   진 숙 열 장 ( 辰 宿 列 張 )
진(12辰), 숙(28宿) 즉 성좌가 해 달과 같이 하늘에 넓게 벌려져 있음을 말함. 날 일(日), 달 월(月), 찰 영(盈), 기울 측(측) 별 진(辰), 잘 숙(宿), 벌일 열(列), 베풀 장(張)

5   한 래 서 왕 ( 寒 來 暑 往 )
찬 것이 오면 더운 것이 가고 더운 것이 오면 찬 것이 간다.
1.차고 3.더움이 2.오고 4.간다는 것은 계절 흐름의 순리이다.  

6   추 수 동 장 ( 秋 收 冬 藏 )
가을에 곡식을 거두고 겨울이 오면 그것을 저장 한다. 1.가을이 되면 3.겨울 준비를 위해 2. 거둔 곡식을 4. 저장한다.
찰 한(寒),올 래(來), 더울 서(暑), 갈 왕(往), 가을 추(秋), 거둘 수(收), 겨울 동(冬), 감출 장(藏), 겨울 하면 四季節중에 冬節을 이름이요 동장(冬藏)하면 四季節이 끝나는 겨울이면 가을에 거둔 곡식을 창고에 저장하는 것을 동장(冬藏)이라 하였다. 그리고 모든 동식물들은 월동과 동민에 들어간다. 겨울이면 冬四時盡也로 四季節이 다가는 마지막 季節인 것이다.
四季節 변화에 관한 敍事詩的 意味를 살펴 보았다.

7   윤 여 성 세 ( 閏 餘 成 歲 )
一年 貳拾四節期 나머지시각(時刻)을 모아 윤달로 하여 해 세(歲) 를 이루었다.

8   율 려 조 양 ( 律 呂 調 陽 )
율(6律)과 려(6呂) 는 천지간의 陽氣를 고르게 하니 즉 율은 陽이요, 여는 陰이다. 윤달 윤(閏), 남을 여(餘), 이룰 성(成), 해 세(歲), 법측 률(律), 성 려(呂), 고를 조(調), 볕 양(陽), 前句에 서는 사시(節氣와 時刻.四時)의 움직임을 말 했고, 本句에 서는 曆法과 陰陽의 이기(二氣) 로 사계(春.夏.秋.冬 四季) 를 조절한다는 것을 말했다. 여기에서 우리는 고대의 자연과학 연구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

9   운 등 치 우 ( 雲 騰 致 雨 )
자연의 기상을 말 하며 지상에서 수증기가 올라가서 구름이 되고 냉기를 만나 비가 된다. 1.구름이 3.이루어 지니 2. 올라가서 4. 비가된다.
구름의 발단은 수증기가 대기권으로 향해 오르고 냉기를 만나면 비가된다.
구름 운(雲), 오를 등(騰), 이룰 치(致), 비 우(雨)

10  로 결 위 상 ( 露 結 爲 霜 )
이슬이 맺어 서리가 되니 밤 기운이 풀잎에 물방울처럼 이슬을 이룬다.
이슬 로(露), 맺을 결(結), 할 위(爲), 서리 상(霜)
雲騰致雨 하면 여름의 기상이 농후하고, 露結爲霜 하면 가을에 많이 이루어 지다. 하여 천지지간 만물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상호 공존하는 이치를 알 수 있다. (1對句~10對句 까지는 天文에 關함)

11  금 생 여 수 ( 金 生 麗 水 )
금은 여수에서 나고 여수는 중국의 지명이다.
쇠 금(金), 날 생(生), 빛날 려(麗), 물 수(水), 금은 물 속에서 도 빛이 여전하며 햇빛을 받으면 유난히 돋보이는 특색이 있다.

12  옥 출 곤 강 ( 玉 出 崑 岡)
옥은 崑岡에서 나니 崑岡은 역시 중국의 산 이름이다.
구슬 옥(玉), 날 출(出), 산 이름 곤(崑), 메 강(岡),여기에서는 금과 옥의 출처를 근거하는 글귀로 보고있으나 학습을 하고 있는 자는 금의 빛은 맑은 물과 궁합이 맞고 옥은 돌 중에도 가장 아름다운 색을 평가하는 것으로 강조 하고있는 느낌이 있다.

13    검 호 거 궐 ( 劍 號 巨 闕 )
巨闕은 칼 이름이고 구야자가 지은 보검이다.즉 조 나라의 국보다. 칼 검,(劍), 이름 호(號), 클 거(巨), 집 궐(闕)

14    주 칭 야 광 ( 珠 稱 夜 光 )
구슬의 빛이 밤에도 낮 같은 고로 야광이라 칭했다.
구슬 주(珠), 일컬을 칭(稱), 밤 야(夜),빛 광(光), 여기에서 巨闕 이라는 명검이 있는데, 巨闕은 고대의 명검이라 하며 四大名劍中의 하나로 <<순자(荀子)>> 성악편(性惡篇)에 [간장](干將). 막야(莫耶). 거궐(巨闕). 벽려(僻閭)는 모두 옛날의 양검 이다. (干將莫耶巨闕僻閭 此皆古之良劒也)라고 했다. 여기에서 놀 날만 한 것은 비록 천자문이라고는 하나 광범위한 지식의 깊이에 이르니 보통의 공부로서는 천자문의 경지에 따라가기 어렵도다. 주칭야광(珠稱夜光)에 관하여 주(珠)는 합중정음(蛤中精陰)이라 했는데 본래의 뜻은 곧 조개 속에 있는 진주인 것이다
. 칼 검(劍), 이름 호(號), 클 거(巨), 집 궐(闕), 구슬 주(珠), 일컬을 칭(稱), 밤 야(夜), 빛 광(光) 뒤에 알아보기:벽 려(閭).

15    과 진 리 내 ( 果 珍 李 柰 )
과실중의 果名也 오얏(李)과 벗의 그 진미가 으뜸임을 말함.과실과(果), 보배진(珍), 오얏 리(李),姓也 성 리(李),능금 내(奈)

16    채 중 개 강 ( 菜 重 芥 薑 )
나물은 겨자와 생강이 중하다. 1.나물과 3.겨자보다 2.무거운 것은 4.생강이다. 나물 채(菜), 무거울 중(重), 겨자 개(芥), 생강 강(薑),과실 과(果), 보배 진(珍), 오 얏 리(李), 능금 내(柰), 나물 채(菜),무겁게 여길 중(重), 겨자 개(芥), 생강 강(薑) 本草에 보면 오 얏 에는 綠李, 黃李, 紫李, 牛李, 水李가 있는데 이것들은 모두 맛이 좋아서 먹을 만하다. (李類는 綠李, 黃李, 紫李, 牛李, 水李, 아우를 병 竝, 달 감(甘), 아름다울 미(美), 견딜 감(堪),음식 식(食). (병감미감식 竝甘美堪食)이라 했다. 오 얏 리(李)은 다섯 종류를 들고 있다.

17    해 함 하 담 ( 海 鹹 河 淡 )
바다 물은 짜고 밀물은 맛도 없고 맑다.
1. 바다 3.물은 2. 짜고 4.맑은 담수는 맛이 없다. 바다해(海), 짤 함(鹹), 물 하(河), 맑을 담(淡)

18    린 잠 우 상 ( 鱗 潛 羽 翔 )
비늘있는 고기는 물 속에 잠기고 날개있는 새는 공중에 난다.1.비늘과 3. 깃은 2. 물 속 잠긴 고기와 4. 하늘 나는 새를 말한다.
비늘린(鱗), 잠길 잠(潛), 깃 우(羽), 날 상(翔)
위의 풀이를 보면 소금기가 있는 바다 물은 짜고, 밀물은 맛은 없어도 맑다는 뜻이다. 하면 소금기 있는 바다 물은  밀물보다 맑지 못하다는 의미가 내포하고 밀물은 맛은 없으나 맑다는 뜻이 된다. 하고보면 당연한 뜻이기도 하다. 육지의 잡다한 물이 모두 바다로 어르고 거기에 소금기 까지 있으니 육지의 담수보다는 맑지 못함은 당연한 이치이다.
바다 해(海), 짤 함(鹹), 물 하(河), 맑을 담(淡), 비늘 린(鱗), 장길 잠(潛), 깃 우(羽), 날 상(翔)
淡은 薄味라 하였으니 이는 곳 싱거운 맛이라는 뜻이다. 이 라(李 邏)의 글에 냇물은 모두 산으로부터 시작한 샘물로서 그 맛이 반드시 싱겁다 (河水者皆山泉 必淡也)라 했다. 오늘도 천자문 공부를 하면서 많은 것을 생각해 본다.
자성(自省)의 글: 한자로 구성된 천자문은 한문을 배움에 있어 입문하는 초보자 입장에서 너무나 벅찬 일이다. 깊은 뜻을 알기 위해 너무너무 博識해야만 理解가 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인내(忍耐) 참고 또 참아야 한다.

19    룡 사 화 제 ( 龍 師 火 帝 )
1.용 스승 불임금 이라 하면 伏羲씨는 용으로써 벼슬을 기록하고 3.신농씨는 불로써 기록하며 2.스승하면 龍師인즉 4.三皇 五帝를 이름.
용 룡(龍;상상상(想像上)의 신령한 動物), 스승 사(師), 불 화(火), 임금 제(帝).

20    조 관 인 황 ( 鳥 官 人 皇 )
소호(小昊)는 새로써 벼슬을 기록하고 황제는 인문을 지칭 하여 人皇 이라 하였다.(선인들의 글句解를 구체화해본다)
1.鳥官하면 小昊를 의미하니 이는 곳 3.사람의 2.벼슬을 뛰어넘는 最高位인 삼황오제(三皇五帝)중 4.제황(帝皇)를 이름이다.
새 조(鳥),벼슬 관(官),사람 인(人), 임금 황(皇)
용사(龍師)라 하면 복희씨(伏羲氏)의 대칭(代稱)이다. 화제(火帝)하면 신농씨(神農氏)를 이름이다.조관(鳥官)이라 하면 소호씨(小昊氏)를 의미한다. 인황(人皇)하면 태고시대의 제왕을 이르는 말이다.
先世事蹟 및 狀碣 炎帝神農氏 傳略 姜姓의 開始元祖시며 中國 上古時代 三皇五帝(太昊伏羲氏 炎帝神農氏 黃帝有熊氏 小昊氏 頊氏)中 三皇의 한 사람이시다. 父親은 小典部落 君主이시고 母親은 諸侯 有嬌 또는 有氏의 女息이다. 이름은 任已 任似라고 하며
學習考:三皇五帝하면 옛날부터 중국의 역사는 三皇五帝로 시작됨이 統例로 되어있다. 三皇은 伏羲氏,
지황씨(地皇氏), 女와,氏, 神農氏,天皇氏,人皇氏로
기록 되어있다.(伏羲氏는 堯,舜,禹 임금을 시대 순으로 지칭하기도 했다)  

21    시 제 문 자 ( 始 制 文 字 )
伏羲신하 "창 힐" 이라는 사람이 새 발자취를 보고 글자를 처음 만들었다.
1.비로소 3.글을 지을 수 있는2.글자를 4.만들었다.
비로소 시(始), 지을 제(制), 글월 문(文), 글자 자(字)

22    내 복 의 상 ( 乃 服 衣 裳 )
이에 의상을 입게 하니 황제가 의관을 지어 등분을 분별하고 위의(威儀)를 엄숙하게 하였다.
1.이에 3.옷을 2.입게 하고 4.치마를 두르게 했다.
이에 내(乃), 옷 복(服), 옷 의(衣), 치마 상(裳)
시제문자(始制文字) 비로소 문자를 제정 하였다. 상고에는 글자가 없었던 까닭에 노끈을 맺는 것으로 남과 약속을 하는 등 그 불편함이 말 할 수 없었다. 그래서 伏羲氏 때에 비로소 글자를 만들어 기록하게 했다고 한다.
내복의상(乃服衣裳) 이리하여 의상을 만들어서 착용하게 되었다. 의상은 上下衣를 말 하는 것인데 그 때까지는 짐승가죽으로 몸을 가리는데 불과 했던 것을 호조(胡曺)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옷을 만들어 입도록 가르쳤다고 한다.(이때의 하의는 모두 치마형)  

23    추 위 양 국 ( 推 位 讓 國 )
벼슬을 미루고 나라를 사양하니 제요가 제순 에게 전위(傳位)하였다
1.옮겨 3.사양하는 2.벼슬과 4.나라의 전위
빌 추(推).퇴 또는 추로 排也에 밀 퇴(推),順遷에서
차례로 옮길 추(推),奬也에 포장할 추(推),궁힐(窮詰)에 힐난(詰難;트집 잡아서 따지고 듬)하여 물을 추(推),尋繹에 궁구할 추(推), 자리 위(位),사양할 양(讓),나라 국(國),(窮究;속속들이 파고들어 철저히 연구함:investigation precisely)

24    유 우 도 당 ( 有 虞 陶 唐 )
유우(有虞)는 제순 이요 도당(陶唐)은 제요이다. 즉 중국고대의 제왕이다.(帝舜은 순임금이요,帝堯는 요임금을 지칭함이다)  
있을 유(有), 나라 우(虞), 질그릇 도(陶), 당나라당(唐).  
推位는 지위를 타인에게 넘겨준다는 뜻, 讓國은 나라를 넘겨준다는 뜻이다.有虞는 舜임금을 지칭한다. 堯임금의 칭호가 陶唐이다.

25    조 민 벌 죄 ( 弔 民 伐 罪 )
불쌍한 백성을 돕고 죄지은 백성은 벌주었다.
1.불쌍히 여길 것과 3.벌하는 것은  2.백성들의 4.허물을 가려 엄정해야 한다.(신상필벌을 강조하는 대목이다)    
조상 조(弔),불쌍히 여길 조(弔),슬퍼할 조(弔), 백성 민(民), 칠 벌(伐),자랑할 벌(伐),방패 벌(伐),허물 죄(罪).

26    주 발 은 탕 ( 周 發 殷 湯 )
주발(周發)은 무왕(武王)의 이름이고 은탕(殷湯)은 湯王의 칭호이다.
1.周發하면 武王의 이름이요 3.殷湯은 湯王의 호칭이니2.發과 4.湯은 武王의 이름과 湯王호칭의 後音이다.  
두루 주(周),필 발(發),나라 은(殷),끓을 탕(湯)
弔民은 백성을 사랑하여 위로 한다는 뜻이다.
伐罪는 허물을 치는 것이다.벌격야(伐擊也) 친다는 뜻이다.
周發은 주나라를 세운 發이 곧 周發이다. 發의 姓은 희(姬)이며 후일의 武王 이다. 은나라의 주왕(紂王)이 성질이 잔인하고 포악해서 백성들을 학대했기 때문에 그의 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周王을 정벌했던 것이다. 건국한지 35대 874년만에 진(秦)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殷湯은 은나라 湯王을 말하는데, 성은 자(子)요 이름은 이(履) 이다. 湯王은 武王이 은나라를 멸한 것과 같이 폭군인 하(夏)나라 걸왕(桀王)을 정벌하고 은(殷)나라를 세웠다.원래는 상(商)나라 라고 하였는데 하남성의 은(殷)로 도읍을 옮긴 후에 殷나라로 개칭하였다. 제28대 周王에 이르러 周武王에 의해 멸망 했다. 여기에서 참고(參考) 할만한 것은 예나 지금이나 민의를 저버리고 순리에 역행을 하는 자는 민심이 천심으로 바뀌어 민심을 수습하는 통치자가 나오는 것이 天理인 듯하다. 시대 순으로 보아 은탕주발(殷湯周發)이어야 하지만 탕자의 압운상 주발과 은탕을 바꾸어 놓은 것이다.

27    좌 조 문 도 ( 坐 朝 問 道 )
좌조(坐朝)는 천하를 통일하여 왕위에 앉은 것이고 문도는 나라를 다스리는 법을 말함.
1.坐朝라 함은 조정의 왕의 자리요 3.問道라 함은 백성을 다스리는 법을 말함이니 2.조는 조정이요 4.도는 법도이다.
앉을 좌(坐), 아침 조(朝), 물을 문(問), 길 도(道)

28    수 공 평 장 ( 垂 拱 平 章 )
밝고 평화스럽게 다스리는 길을 겸손히 생각함을 말함.
1.드리우고 팔짱을 끼니3.평화스러움을 2.바치는 4.法章 같도다.
드리울 수(垂),바칠 공(拱),평할 평(平),글 장(章)垂拱;垂는 늘어뜨리다. 拱은 팔짱을 끼다 의 뜻이니 "옷을 늘어뜨리고 팔짱을 끼다" 平章은 평탄하고 밝게 다스려진다는 뜻이다.  
,밝을 장(章),법 장(章),문체 장(章).

29    애 육 려 수 ( 愛 育 黎 首 )
애수(愛首)즉 백성을 임금이 사랑하고 양육함을 말함.
1.사랑으로 3.무리를 2.기르는 4.머리는 곳 백성이
그 대상이다.
사랑 애(愛), 기를 육(育), 검을 려(黎),무리 려
(黎), 머리 수(首)

30    신 복 융 강 ( 臣 伏 戎 羌 )
이상과 같이 나라를 다스리면 그 덕(德)에 戎과 羌도 항복하고야 만다.
1.두려운 3.戎도 2.엎드리고 4.羌도 따른다.
신하 신(臣), 황공지사주(惶恐之辭主)곤두려울 신(臣),事君之稱에 신하 신(臣);仕於公曰곤仕於家曰僕
, 엎드릴 복(伏), 오랑캐 융(戎), 오랑캐 강(羌),애육(愛育) 사랑으로 기른다. 여수(黎首) 인민을 가리킨다. 여(黎)의 본의는 풀(호:糊)의 뜻이나 설문통훈정성(說文通訓定聲)에서 여검개흑야(黎黔皆黑也)라 했으니 곧 黎나 黔은 모두 검다는 뜻이다. 수(首)는 머리이니 黎首를 直譯하면 <검은 머리>이다. 이것은 서민은 관을 쓰는 것이 금지되어 있어 검은 머리카락이 그대로 나타남으로 여수(黎首)라 한 것 인데, 즉 인민을 뜻한다. <<채전(蔡傳)>>에도 여흑야 민수개흑 고왈여민(黎黑也 民首皆黑 故曰黎民)이라 했다
. 여기에서 신복융강(臣伏戎羌)이라든가 기타 설명용어들이 많으나 현실감과 멀기에 설명를 주리며, 여기에서 主文의 의미를 승복하기는 객관성이 없다. 하지만 융강(戎羌) <<설문>>에 융(戎)은 병(兵)이라 했으나 또 예왕제(禮王制)에서 서방왈융(西方曰戎)이라 하여 서방 오랑캐의 뜻으로 변하였는데, 여기에서는 티베트족을 가리킨 말이다. 강(羌)역시 西戎 이라 했다.(여기에서 참고가 된다면 중국의 오호(五胡)에 관련하는 이민족 설음에 한 가닥 흉노(匈奴)와 갈(鞨), 몽고(蒙古)系와,징크스系의 혼혈(混血)한 티베트系 저(저),강(羌)과 연관한다) 그러나 다시 공부(工夫)하는 입장에서 사견을 붙이면 우리 나라에서 통용되는 漢字를 필요한 만큼 익히는 것 외에 더 깊은 영역으로 들어 가기란 벅차게 될 뿐이다
.(四言古詩的實體를 익히는 學習일뿐 그 範疇를 넘어설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31    하 이 일 체 ( 遐 邇 壹 體 )
멀고 가까운 나라가 전부 그 덕망에 귀순케 하며 일체가 될 수 있다.
멀 하(遐),가까울 이(邇), 한일(壹), 몸 체(體)
1.먼데있는 것이 3.하나되고 2.가까운 것이 4.한몸 되니 전부가 덕망에 귀순케 되다.(이는 백성에 대한 현군의 기본 姿勢이다)

32    솔 빈 귀 왕 ( 率 賓 歸 王 )
거느리고 복종하며 왕에게 돌아오니 덕을 입어 복종치 않음이 없음을 말함.(1.거느리고 3.귀순하여 2.복종하며 4.왕을 섬긴다)
거느릴 솔(率), 손 빈(賓),복종할 빈(賓),인도할 빈(賓), 돌아갈 귀(歸),임금 왕(王),앞 句에서 보면 임금 덕 본자 통치자의 덕으로써 통치한다는 것은 곳 인민을 자기 자식과 같이 愛育한다는 뜻이다.이런 성제의 밑에는 자국민은 물론이고 이민족까지 그 덕을 競募 하여 모여드는 것이다.
어진 임금으로서 소문난 인군(仁君)에게 복종해 오기만 하면 다른 나라의 백성이라 해도 한결같이 어질게 다스리기 때문에 기꺼이 따른다는 것으로 결의하며 본분으로 할 것이다.

33    명봉재수 (鳴鳳在樹)
명군성현이 나타나면 봉이 운다는 말과 같이 덕망이 미치는 곳마다  봉이 나무 위에서 울 것이다.여기에 뜻풀이는 너무나 당연한 1.3.2.4 순이다. 설명하면 명군성현(明君聖賢)=(鳴鳳在樹)로 했다. 당연하게 1.울고 3.있는 2.봉은 4.나무에 있다 로 된다.
울 명(鳴), 새 봉(鳳), 있을 재(在), 所也行곤 곳 재(在), 나무 수(樹),(명군성현=밝은 임금의 성스럽고 어짊이)나타나면 로 된다.  

34    백 구 식 장 ( 白 駒 食 場 )
평화스러움을 말한 것이며 흰 망아지도 감화되어 사람을 따르며 마당 풀을 먹게 한다.(1.힌 망아지의
3.먹거리 2.나무등걸 있는 4.장소),여기에서 힌 망아지(驅)는 빈위(賓位)요,나무등걸은 객어(客語)이다. 흰 백(白), 망아지 구(駒), 나무등걸 구(駒), 밥 식(食), 마당 장(場). 흰 망아지가 나면 평화롭다 하는 것과 그의 먹거리로 나무등걸이 있는 곳을 읊음. 명군성현(明君聖賢:명주로서 지덕이 가장 뛰어난 사람) 하면 근대의 말로 어질고 현명한 대통령이 나타나면 길조(吉鳥)라 하는  봉황 새 봉(鳳)이 나무에서 운다 함은 즐거운 노래함이라는 뜻이요, 축가(祝歌)를 한다 할 정도로 큰 의미 있음을, 봉황 새를 본다거나 그 울음을 듣는 것과 같은 귀한 존재를 맞게 되었다는 의미, 하여 온 백성들은 기뻐하고 축제를 올려 맞이한다는 뜻이 된다.
백구(白駒)하면 말 마(馬)중에 흰색의 말을 의미하고 백마(白馬)가 태어난 것과 그 흰색의 망아지가 마당 풀을 뜯어먹게 한다 할 정도로 평화롭고 자연과 생태계의 많은 존재들을 파괴함이 없이, 백성은 물론 온갖 짐성에 이르기까지 보살피는 살기 좋은 정치 하에 평화와 안녕을 누린다는 것으로 생각을 해 본다.

35    화 피 초 목 ( 化 被 草 木 )
덕화가 사람이나 짐승에게만 미칠 뿐 아니라 초목에 까지도 미침을 말함. 이는 앞 句에 이어지는 글귀로 보며 덕화가 라고 하는 것은 덕으로 백성을 다스리는 조화가 사람은 물론 모든 동물과 자연의 초목에 이르기까지 좋은 영향을 받는다는 뜻이다.
될 화(化), 입을 피(被), 풀 초(草), 나무 목(木),

36    뢰 급 만 방 ( 賴 及 萬 方 )
만방이 극히 넓으나 어진 덕이 고루 미치게 된다.
힘입을 뢰(賴),미칠 급(及),일만 만(萬),모 방(方)
천지현황(天地玄黃)에서 本句의 뢰급만방(賴及萬方)36句까지는 千字文의 발단이며 천지인(天地人)의 도(道) 즉 왕업(王業)을 설명 한 것이다. 어느 시대나 통치자의 현명함이 아쉽다고 하는 것은 명군을 만나면 나라의 안팎이 잘 다스려지고 또 천지가 잘 조화되어, 나중에는 여러 짐승이나 일목일초(一木一草)까지도 그의 惠澤을 입게 되기 때문이다.

37    개 차 신 발 ( 蓋 此 身 髮 )
이 몸의 터럭은 대개 사람마다 없는 이가 없다.
1.가려진 3.몸의 2.이 4.털은 다 있음이니
덮을 개(蓋), 掩也 가릴 개(蓋), 大凡 대개 개(蓋), 이 차(此), 몸 신(身), 터럭 발(髮)

38    사 대 오 상 ( 四 大 五 常 )
내가지 큰 것과 다섯 가지 떳떳함이 있고 사대는 천지군부요 오상은 다음과 같다.
넉 사(四), 큰 대(大), 다섯 오(五), 떳떳할 상(常)
사대(四大)는 지(地), 수(水), 화(火), 풍(風)이라 했는데, 三體(液體=水,氣體=風,固體=地)에 불(火)을 더한 것이고.천지군부(天地群部)요, 오상은 사람의 마음과 성품 안에 갖추어진 정신적인 요소인데, 바로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 이다. 즉 다섯 가지 떳떳함이자 人謂性品.
오상은 항상 연마 하지 않으면 거치러 진다는 훈계(訓戒)이다.
學習考:四大五常이란? 내가지 힘의 바탕이자 天地群部요. 즉 다섯 가지 떳떳함이자 人謂性品이니라. 天地群部 人謂性品이라 했으니 즉 四大五常은 하늘에 依해 만들어진 땅의 存在物과 멀고 깊은 곳의 屬性과 氣의 合을 말하고있다.

39    공유국양 (恭惟鞠養)
鞠養함을 공손히 하라 이 몸은 부모의 기르신 은혜이기 때문이다.
공손할 공(恭), 생각할 유(惟), 기를 국(鞠), 기를 양(養)

40    기 감 훼 상 ( 豈 敢 毁 傷 )
부모가 낳아 길러 주신 이 몸을 어찌 감히 毁傷을 할 수 있으랴.
어찌 기(豈),용감할 감(敢),헐 훼(毁),상할 상(傷),수신(修身)의 근본정신은 효에서 시작된다. 사람의 시작은 누구나 신체발부를 부모로부터 받았으며 부모는 또 온갖 고난을 무릅써 가며 자식에게 옷을 입히고 젖과 밥을 주어 양육하였다. 그 은공을 공손히 생각할 때 어찌 그 받은 신체발부와 또 명예를 함부로 취급 하겠는가. 그러나 효는 극히 긴요한 도덕이로되 그 실천은 결코 쉽지 않다. 뭇 사람 중에 효심없이 성공한 자는 드물며, 또 요행으로 일시적인 성공을 했다 해도 마침내 좋은 결과를 얻지는 못함을 본 사람이 많이 있을 것이다.

41    녀모정렬 (女慕貞烈)
여자는 정조를 굳게 지키고 행실을 단정하게 해야 함을 말함.
계집 녀(女), 사모할 모(慕), 곧을 정(貞), 매울 렬(烈)

42    남 효 재 량 ( 男 效 才 良 )
남자는 재능을 닦고 어진 것을 본받아야 함을 말함.
사내 남(男), 본받을 효(效), 재주재(才), 어질 량(良), 사모할 모(慕) 字는 연모(戀慕)사랑하여 그리워함 (love), 재주재(才) 字는 재능(才能)일을 해내는 힘,재주와 능력,(talent같은 직업).

43    지 과 필 개 ( 知 過 必 改 )
누구나 허물이 있는 것이니 알면 즉시 고쳐야 한다.
알 지(知),지날 과(過),반드시 필(必),고칠 개(改)

44    득 능 막 망 ( 得 能 莫 忘 )
사람으로서 알아야 할 것을 배운 후는 잊지 않니 하도록 노력 하여야 한다.
얻을 득(得),능할 능(能),말 막(莫), 잊을 망(忘)
지우(知友)는 지기지우(知己知友)의 준말, 마음이 통하는 친한 벗. 과당(過當) 정도가 지나치다. 개혁(改革) 새롭게 뜯어 고침. 능재(能才) 잘하는 재주. 막금(莫禁) 하지 마라 뜻.망각(忘却)기억하지 못함.

45    망 담 피 단 ( 罔 談 彼 短 )
자기의 단점을 말 아니하는 동시에 남의 잘못을 욕 하지 말라.
없을 망(罔), 말씀 담(談), 저 피(彼),짧을 단(短).

46    미 시 기 장 ( 靡 恃 己 長 )
자신의 특기를 믿고 자랑 하지 말라 그럼으로써 더욱 발달한다.
없을 미(靡), 믿을 시(恃), 몸 기(己), 길 장(長)
망(罔)은 하지 말라고 이르는 말. 담소(談笑)웃으면서 이야기함. 피(彼)는 아(我)에 대응하는 말
단(短) 길지 아니하다는 말, 단명(短命) 젊은 나이로 죽음. 무미(無靡)하다. 없는데 겹쳐서 또 없다. 미미(靡靡)하다. 없고 없다, 아주없다는 말이다.

47    신 사 가 복 ( 信 使 可 覆 )
믿음은 움직일 수 없는 진리이고 또한 남과의 약속은 지켜야 한다. 믿을 신(信), 하여금 사(使), 옳을 가(可), 덮을 복(覆)

48    기 욕 난 량 ( 器 欲 難 量 )
사람의 기량은 깊고 깊어서 헤아리기 어렵다.
큰일을 해내는 사람, 못하는 사람보고 그릇이 작은 사람 또는 큰사람으로 표현함에서 오는 말을 인용해서 1.그릇이란 여러 가지라 가리기 3.어렵고 2.하고자 하는 4.양에 맞춤역시 어렵다.(3의 難을 두 번 쓰는 것은 주사에 결합되어 賓位,客語를 돕기위해 두 번도 사용된다) 의심하지 않음 이라는 뜻에서 신용(信用)로 표기하며 믿고 쓴다는 것이다. 사신(使臣) 나라에서 신부름 역할을 하는 신하라는 뜻이며 벼슬 이름이기도하다. 가능(可能)하다, 할 수 있다, 그럴 수 있다.동의를 한다. 복(覆) 지난 일을 거듭하다, 반복(反覆) 되풀이하다.
그릇기(器), 하고자 할 욕(欲), 난難 나儺 불이간不易艱곤 어려울 난(難),珠名木곤구슬 이름 난(難),患也근심스러울 난(難),阻也 막힐 난(難), 責也 꾸짖을 난(難), 詰辨 힐난할 난(難), 盛예곤然 우거질 나(儺)同 한寒 가歌 .
헤아릴 량(量), 욕구(欲求) 욕심 껏 구함. 난사(難事) 어려운 일. 수량(數量) 수를 헤아리는 표현적 단위를 요하는 말(물이 2(리터)),사과 2(개)등을 표현. (리터, 개 등은 헤아리는 단위 이다)

49    묵 비 사 염 ( 墨 悲 絲 染 )
흰 실에 검은 물이 들면 다시 희지 못함을 슬퍼한다 즉 사람도 매사를 조심하여야 한다.
먹 묵(墨), 슬플 비(悲), 실 사(絲), 물들 염(染),

50    시 찬 고 양 ( 詩 讚 羔 羊 )
詩傳羔羊編에 文王의 덕을 입은 남국대부의 정직함을 칭찬하였으니 사람의 선악을 말한 것이다.
귀글 시(詩), 칭찬할 찬(讚),염소 고(羔),양 양(羊)
지필묵(紙筆墨)종이와 붓과 먹. 비통(悲痛) 몸씨 슬퍼하다, 사립(絲笠) 명주실로 싸개를 하여 만든 갓. 염색(染色)한다. 고시(古詩) 옛시, 현대시(現代詩) 近代詩.찬사(讚辭) 칭찬하는 말이나 글. 고(羔) 는 어린 양을 말한다. 양모(羊毛) 털이 부드럽고 양털은 실을 만들며, 양털실 복지를 만들 수 도 있다. 고급 모직(高及毛織)

51    경 행 유 현 ( 景 行 維 賢 )
행실을 단정하게 하고 당당하게 행하면 어진 사람이 된다는 것을 말함.(여기에서 景字 維字에 깊은 뜻이 있는 모든 것을 표기함이 옳은 것으로 판단이 되어 音은 같으나 뜻이 다른 내용을 나열한 다음에 적중되는 뜻을 골라서 1. 3. 2. 4 순으로 기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하여 全句에 이와 같은 예기(例記)를 하지 않는 句라 해서 부정할 근거 없음을 밝힌다.일
일이 例記가 없는 句는 구체적인 나열이 없어도 쉽게 1. 3. 2. 4순으로 글 뜻이 풀어지는 구이다.
1.밝고 큰 뜻을 3.개혁적으로 2.행함이란 4.현인의 道이니라    
光也에 빛 경(景)곤이 를 치(致)에 경치 경(景),明也에 밝을 경(景),大也에 클 경(景),慕也에 곤仰사모할 경(景),象也에 형상할 경(景),명유경물자음영(明有境物之陰影)에 그림자 영(影과同뜻으로 읽음),衣也에 옷 영(景);影通,다닐 행(行), 綱也에 벼리 유(維),발어사(發語辭)에 발 어사 유(維) ,係也에 이을 유(維),獨也에 오직 유(維),方隅에 모퉁이 유(維),連結也에 연하여 맬 유(維),此也에 이 유(維)곤新 개혁 유(維)곤持에 끌어 갈 유(惟), 唯通,어질 현(賢)
學習考:本句에서 千字文이란 한결같이 四言古體서事詩답게 各글字는 四言壹句에 前後句合하여 壹對句형식으로 문맥이 이루어지며 四字는 屬性이 서로 다른
두 글자에 두 글자 합하여 四字壹句로 구성된 이상 本質的인 뜻풀이 격식은 千字文 250句 全句에서 같은 방법이어야 함을 명백하게 해 둔다.

52    극 념 작 성 ( 克 念 作 聖 )
성인(聖人)의 언행을 잘 생각하여 수양을 쌓으면 자연 성인이 됨을 말함. 이길 극(克), 생각 념(念), 지을 작(作), 성인 성(聖).풍경(風景) 자연의 아름다운 모습을 그린 그림. 경치(景致) 자연의 아름다운 모습. 행보(行步) 어떤 목적한 곳으로 장사하러 다님. 행상(行商) 행상인의 준말.맬 유(維) 묶을 속(束). 유속(維束):밧줄로 묶음. 어질 현(賢). 현인(賢人) :어질고 총명한 사람. 이길 극(克). 극 난(克難):어려움을 참고 이겨냄. 생각 념(念). 염두(念頭):마음속 생각. 생각의 시작. 작가(作家) :예술품의 제작자. 성지(聖地):종교상의 유적,거룩한 땅.

53    덕 건 명 립 ( 德 建 名 立 )
항상 덕을 가지고 세상일을 행하면 이름도 서게 된다.(1.덕을 가지고 3.명분을 2.세우면 결코 4.서게 된다)덕을 가지고 명분을 세우면 결코 서게 된다.(본보기뜻풀이)    
큰 덕(德),세울 건(建), 이름 명(名), 설 립(立)

54    형단표정 (形端表正)
몸 형상이 단정하고 깨끗하면 마음도 바르며 또 표면에 나타난다.(1.형상(몸매)과 3.표정은 2.단 4.정해야 한다)형상(몸매)와 표정은 단정해야한다.(본보기뜻풀이)
얼굴 형(形), 끝 단(端), 겉 표(表), 바를 정(正)
덕망 높고 품행이 단정한 이는 이름이 남게 되고 후인들이 본 받으려 합니다.(정확한 1,3,2,4 풀이에서 53句와 54句의 풀이이다)

55    공곡전성 (空谷傳聲)
산골짜기에 크게 소리치면 그대로 전한다. 즉 악한 일을 당하게 된다. 이 뜻은 아무도 없는 대서 나는 소리가 전해지는 것처럼,악한 일이 벌어지면 험한 꼴을 당하고,좋은 일이 벌어지면 좋은 그대로 전해진다.(공허한 외로운 곳에서는 내 소리가 산울림되어 내 귀로 돌아오는 것과 같이, 있는 그대로 내게로 전해 들린다는 뜻이다)  빌 공(空), 골 곡(谷), 전할 전(傳), 소리 성(聲)

56    허 당 습 청 ( 虛 堂 習 聽 )
빈방에서 소리를 내면 울리여 다 들린다.즉 착한 말을 하면 천리 밖에서도 응한다. 비록 빈방에서 익힌 것이라 할지라도 좋은 내용이라면 천리 밖에서도 호응을 하고 전파된다는 뜻이다.
빌 허(虛),집 당(堂), 익힐 습(習), 들을 청(聽)여기에서 특기(特記)할 만한 내용은 소리의 전(傳)함이라든가, 들여오는 익힘의 청(聽)들은 모두가  직접 보지는 못한 일들을 근거하여 그 사실들을 간파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하고 있음이 라는 것. 예 큰데 저주파나, 고주파들을 이용한 탐지기에 의하여 머나 먼 곳에서 그 기점 정황을 판단 한다는 것과 무선 전화기로서 의사표시를 다 한다는 것들은 공곡전성(空谷傳聲), 허당습청(虛堂習聽) 등에서 합리적으로 압축된 학문임을 알 수 있다.

57    화 인 악 적 ( 禍 因 惡 積 )
재앙은 악을 쌓음에 인한 것임으로,재앙을 받는 이는 평일에 악을 쌓았기 때문이다. 재화 화(禍),인할 인(因),악할 악(惡), 쌓을 적(積)

58    복 연 선 경 ( 福 緣 善 慶 )
복은 착한 일에서 오는 것이니 착한 일을 하면 경사가 온다.
복 복(福), 인연 연(緣), 착할 선(善), 경사 경(慶)
화는 악을 쌓음으로 말미암아 일어난다. 복은 착하고 경하스러운 일로 인연해서 생긴다. 곧 선을 쌓은 집안에는 반드시 경사가 있을 것이며, 그 반대로 선을 쌓지 않은 집안에는 반드시 재앙이 있으리라는 뜻이다.

59    척 벽 비 보 ( 尺 璧 非 寶 )
한자되는 구슬 이라고 해서 결코 보배라고는 할 수 없다.
자 척(尺), 구슬 벽(璧), 아닐 비(非), 보배 보(寶)

60    촌 음 시 경 ( 寸 陰 是 競 )
한자되는 구슬보다도 暫間의 시간이 더욱 귀중하니 시간을 아껴야 한다. 마디 촌(寸), 그늘 음(陰), 이 시(是), 다툴 경(競)
여기에서 촌음시경(寸陰是競)은 음과 양의 뜻이 있으니 해도 달도 둥글며 돌고 돌아 밝고 어두움이 교차하니 이는 흐르는 시간을 의미하고 한치의 시간은 한자의 구슬보다 더 귀중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흐르는 시간이란 얻기는 어려워도 잃기는 쉬우니 짧은 시간도 소중히 보내는 것이야 말로 뜻 깊은 생활의 연장이 되면 척벽비보(尺璧非寶)가 아니라 척벽득보(尺璧得寶)가 될 것이니라.

61    자 부 사 군 ( 資 父 事 君 )
아비를 자질로 하여 임금을 섬길지니 아비 섬기는 효도로 임금을 섬겨야 한다.
資質에 관한 일은 아비를 섬기듯 임금을 섬겨야 한다.나를 나아주신 아비를 섬김이란 그 무엇보다 우선이요 매사를 행함에는 부모의 말씀을 듣는 것 또한 우선일 수 밖에 업도다.
(하여 가정교육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알림)
재물 자(資),貨物에서는 재물 자(資),賴也에 憑也곤本밑천 자(資),取也에 취할 자(資),用也에 쓸 자(資),材質에서는 바탕 자(資), 助也에는 도울 자(資),稟也에 품할 자(資),아버지 부(父),부 모 生己者 아비 부(父),아버지 부 老수之稱 늙으신네 부(父),할아범부 美稱男子 男子의 美稱甫通, 일 사(事),動作云爲 일 사(事),物有本末 곤 有終始賓客見참不곤 事奉仕也 섬길 사(事),職也 벼슬 사(事), 임금 군(君),군至尊 임금 군(君),괴호 卦號 군 군(君)
,彼此通稱 그대 군(君),夫也 남편 군(君),湘곤귀신
의 존칭 군(君).하여 1.본 미천의(본디의) 3.섬김이란 2.아비를 섬기듯 4.임금을 섬겨야 한다. 여기에서 국가와 백성을 섬김이란 것은 곧 내 아비와 임금을 섬김에 그 바탕을 두고 뜻을 풀이 함이다.
소이아광언(小爾雅廣言)에서 자취야(資取也)라 하여
취(取)의 뜻으로 병의 하였다.부(父)는 아비이고, 사(事)는 봉야(奉也)라 하여 받드는 것이다. 군(君)의 본의는 도야(導也)라 했으니 지도자 곧 임금을 뜻하는 것이다.
효경(孝經)에 아비 섬기는 마음으로 임금을 섬길 것이니 공경하는 마음은 마찬가지니라.(資於事父 以事君而 敬同)라고 했다.  

62    왈 엄 여 경 ( 曰 嚴 與 敬 )
임금을 대하는 데는 엄숙함과 공경함이 있어야 한다
.가로 왈(曰),語也말할 왈(曰),謂也이를 왈(曰),發語事에 말낼 왈(曰),稱也에 일 커 를 왈(曰),於也에
왈 之也의 왈(曰),엄할 엄(嚴).엄정함,굳셀 엄(嚴).의연함,높을 엄(嚴).존엄함,혹독할 엄(嚴).정도가 심함,참여할 여(與),더불 여(與).함께,줄 여(與).급여함,편들 여(與).한편이 됨,무리 여(與).동류 여당
(與黨),공경할 경(敬).존경,삼갈 경(敬).경계하여 조심함.
임금을 섬기기를 부모에게 효도하듯 하고 라는 앞句의 後句이자 對句인적 결코 1.가로 사되 왈(曰)임금님과 3.더불어 함께 할 때는 2.엄정함과 4.공경함이 있어야 한다.
學習考: 여기에서 군부(君父)섬기는 도를 말 했다.
백호통의(白虎通義)에 보면 부자사이에 있어서 아비는 범이니 법도로 자식을 가르치는 것이고,자식은 부모가 낳아서 길러 준 것이니 제 몸이 따로 있을 수 없다라고 했다,군사부(君師父)는 一體라 섬기는 도리도 같음을 강조하는 글이다.

63    효 당 갈 력 ( 孝 當 竭 力 )
부모를 섬기는 데는 마땅히 힘을 다하여야 한다.
1.효를 3.다하는 데는 2.마땅히 4.힘을 다 들려야 한다.
효도할 효(孝).부모를 잘 섬김,효자 효(孝).부모를 잘 섬기는 아들,선사부모(善事父母),축야순어도이불역어윤위(畜也順於道而不逆於倫謂곤),喪服입을 효(孝), 마땅할 당(當),마땅히 할 당(當).의당~하여야 함,대할 당(當).마주대함,맡을 (당).주관함, 다할 갈(竭).바닥나게 함,질 갈(竭).패전함,들 갈(竭).들어 올림,엉길 갈(竭).응결함,힘 력(力).근육의 작용
,힘쓸 력(力).일을 함,일꾼 역(力).인부

64    충 측 진 명 ( 忠 則 盡 命 )
충성한 즉 목숨을 다하니 임금을 섬기는데 몸을 사양해서는 안 된다.
1.충성을 3.다하는 2.법칙은 4.명령이다.
충성 충(忠),법 칙(則), 다할 진(盡), 목숨 명(命)
부모에게 효도하고 임금님에게는 충성한다는 뜻이다
갈력(竭力)이란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 는 뜻이다. 목숨을 다하여 나라에 충성한다.

65    림 심 리 박 ( 臨 深 履 薄 )
깊은 곳에 임하듯 하며 얇은 데를 반드시 세심 주의하여야 한다.
1.보고 3.밟을 곳의 2.깊고 4.엷은 곳을 가려 작거나 가벼운 일을 할 때에도 크고 무거운 일을 할 때와 같이 주의 깊게 행하라는 뜻이다.
笠也에 임할 림(臨),監也에 볼 림(臨),大也에 클 림
(臨),卦名에 괘 이름 림(臨),君곤에는 굴림할 림(臨)衆淚에 여럿이 울 림(臨),偏向以尊適卑에 왕림할 림(臨),暫也 잠시 림(臨).얕지 아니함에 깊을 심(深),밟을 리(履),신 리(履).신발,신을 리(履).신을 신음,복 리(履).복록(服錄),엷을 박(薄).두껍지 아니함,가벼울 박(薄),메마를 박(薄).땅이 척박함,

66    숙 흥 온 청 ( 夙 興 溫 凊 )
일직일어나서 추우면 덥게 더우면 서늘하게하는 것이 부모 섬기는 절차이다.
1.아침일직 일어나서 3.따뜻함을 2.일게하거나 4.서늘하게 헤서 부모님을 편안하게 모신다.
早也이를 숙(夙),旣也 이미 숙(夙),조기(早起).일직 일어날 숙(夙),早朝 아침일직 일어날 숙(夙),速也
빠를 숙(夙),敬也 공경 숙(夙),흥할 흥(興),흥 흥(興).흥취,일어날 흥(興).일 흥(興).성하여짐.유순함.온안(溫顔),따뜻할 온(溫),부드러울 온(溫),온천 온(溫).더운물이 나오는 샘,서늘할 청(凊).서늘함,
여기에서 자식된 이는 자나 깨나 관심을 갖고 부모님을 보살피고 섬겨 드리는 일에 소홀함이 없어야 함을 밝히고 있다.부자지간은 한 뜻이어야 하며 어버이는 호랑이같은 기상으로 불철주야 마음을 스며 솔선 수범적 법도로 자식이 부모 따라 행하도록 긴 세월
월 두고두고 몸에 익히도록 하여야한다.(자식이 보는 데서 자신이 먼저 행하여야함)

67    사 난 사 형 ( 似 蘭 斯 馨 )                              
난초같이 꽃다우니 군자의 지조를 비유한 것이다.
1.같은 3.이 2.난초의 4.꽃다움은 마치(如松之盛)
같을 사(似), 난초 난(蘭), 이사(斯), 꽃다울 형(馨)

68    여 송 지 성 ( 如 松 之 盛 )
소나무같이 푸르러 성함은 군자의 절개를 말한 것이다.
● 1.같은 3.이 2.난초의 4.꽃다움은 (67구의 뜻풀이) ...마치(如松之盛)
● 1.같은 3.지라 2.소나무의 4.성(盛)함과도 비유됨 (68구의 뜻풀이)
●무엇이 무엇하고 같나? 난초의 꽃다움은 마치소나무의 성함과도 같다.
같을 여(如), 소나무 송(松), 갈 지(之), 성할 성(盛)난초는 향초(香草)라 하여 향지원문야(香之遠聞也)라 했고 그 향기가 먼 곳까지 풍기다라는 뜻이다
.특별하게 좋은 향기가 있는 난초의 그 이름이 소문
난다 라 고도 풀이가 된다. 소나무 송(松)은 눈과 바람이 치는 높은 산에 서있는 소나무가 성하다 함은 푸르러 다는 뜻으로 적설(積雪)과 혹한(酷寒)에도 독야청청(獨也靑靑)홀로 푸르러다. 이것은 군자의 덕행과도 같은 것으로 向之遠聞而 獨也靑靑乎
1.같은 3.이 2.난초의 4.꽃다움은 마치(如松之松).
1.같은 3.지라 2.소나무의 4.성(盛)함은(似蘭斯馨).

69    천 류 불 식 ( 川 流 不 息 )
내(川)가 흘러 쉬지 아니하니 군자의 行志를 말한 것이다.내(川)가 아니 흐르거나 쉼이 없으니 군자의 行志와 같다.
내 천(川), 흐를 류(流), 아닐 불(不), 쉴 식(息)

70    연 징 취 영 ( 淵 澄 取 映 )
못이 맑아서 비치우니 즉 군자의 마음을 말한 것이다.(못이 취한 맑은 영상은 군자의 마음과 같다)
못 연(淵),맑을 징(澄),취할 취(取), 비칠 영(映)
쉬지 아니하고 흐르는 냇물을 군자의 行志에 비유한 것이고, 쉬지 않고 졸졸 흐르는 작은 냇물도 마침내 큰 강에 이르고 또 큰 바다를 이룬다. 이것을 군자의 나아가는 품위에 비유를 했다. 즉 작은 뜻에서 결코 큰 뜻을 이루다. 사람도 덕을 닦는데 게을리 하거나 좌절하지 아니하고 학문을 깊이 연구하면 성현의 경지에 도달 할 수 있는 것이다.
淵徵取影은 맑은 물이 찬 연못에 비추어지는 영상
(映像):비추어지는 (형상)形狀)처 럼 자연스럽게 취해 지는 이라.이 뜻은 마치 거울 가까이 하는 물체의 형상이 거울에 비추어지듯 노력의 대가는 자연스럽게 사실 그대로 나타난다는 뜻이 된다.

71    용 지 약 사 ( 容 止 若 思 )
행동을 덤비지 말고 형용과 行志를 조용히 생각하는 침착한 태도를 가져라.
얼굴 용(容),그칠 지(止),같을 약(若),생각 사(思)

72    언 사 안 정 ( 言 辭 安 定 )
태도만 침착할 뿐 아니라 말도 안정케 하며 쓸데없는 말을 삼가 하라.
말씀 언(言),말씀 사(辭),편안 안(安),정할 정(定)
사람은 나아가고 물러설 때 말을 주고 받음에 있어서 그 태도나 언사의 내용을 안정시키라는 것이다.얼굴을 붉히거나 말을 거칠게 해서는 이니 된다 를 생각 하라는 뜻이다.말을 함에 있어서 불건전(不健全)한 말, 원망하는 말, 근심스러운 말, 화내는 말, 기뻐하는 말 등의 다섯 가지를 열거하고 이것들을 <지양(止揚) 날릴 양(揚)> 지양 하도록 하라는 훈계이다. (형편에 맞게 잘 조화를 하는 것, 즉 언사를 날리게 하지 말라는 뜻)

73    독 초 성 미 ( 篤 初 盛 美 )
무엇이든지 처음에 성실하고 신중히 하여야한다.
도타울 독(篤),처음 초(初),정성 성(誠), 아름다울 미(美)

74    신 종 의 령 ( 愼 終 宜 令 )
처음뿐만 아니라 끝맺음도 좋아야 한다.
삼가 할 신(愼),마지막 종(終),마 땅 의(宜) 하여금 령(令)
내가 해야 할 일을 분명하게 하는 능력을 갖고 알차게 성사를 시키면 시작과 끝을 변함없이 행한 것이 되고 정성을 다했다는 미덕으로 갸륵한 덕행이 되는 이라. 신종의령(愼終宜令)이라는 령(令)이 붙어 있어 훈계가 되니 모든 일은 처음과 마지막을 착실하게 행하라는 것이다.

75   영 업 소 기 ( 榮 業 所 基 )
이상과 같이 잘 지키면 번성하는 기본이 된다.
화 영(榮), 업 업(業), 바 소(所), 터 기(基)

76   적 심 무 경 ( 籍 甚 無 竟 )
뿐만 아니라 자신의 명예스러운 이름이 길이 전하여 질 것이다.
1.호적이나 문서에 오르면 3.끝없으며 2.심히 4.마치지 않는다
호적 적(籍),문서 적(籍),서적 적(籍),심할 심(甚), 없을 무(無), 마침내 경(竟), 마칠 경(竟)
영달과 사업은 우연히 얻어지는 것이 아니며, 반드시 그 영달을 얻을 만한 기인(基因)이 있다. 모든 것을 진실과 성실로 언행이 일치하는 업무의 처리는 기본이며 대인관계에서 신용을 지키는 것 또한 업의 자본이나 자산에 버금가는 타의 믿음을 자아내는 기본이 된다. 적심무경(籍甚無竟)은 명성이 자자하게 된다는 것이다.

77    학 우 등 사 ( 學 優 登 仕 )
배운 것이 넉넉하면 벼슬에 오를 수 있다.
學習考: 1.배운 것으로 3.오르면 2.넉넉한 4.벼슬이 된다. 배운 것으로 부정 없이 실력으로 벼슬에 오름이란 넉넉하게 그 업무를 수행 할 수 있다는 뜻이 된다.배울 학(學),넉넉할 우(優),오를 등(登),벼슬 사(仕)

78    섭 직 종 정 ( 攝 職 從 政 )
벼슬에 올라 정사를 쫓으니 국가정사에 종사 한다.
잡을 섭(攝),직분 직(職),쫓을 종(從),정사 정(政)
배운 학문을 몸에 바르게 익히면 벼슬길에 오를 수 있다. 학문으로 많은 것을 깨닫고 지혜(知慧)롭 게 사리와 정황판단을 바르게 하면 매사에 공을 이룰 수 있다. 벼슬에 오르면 공익을 위하여 공을 세울 수 있으니 성공길이 있다. 사람은 직업을 잡게 되면 그에 걸 맞는 일에 임하게 되며 그 일 중에는 公務와 私務를 구분하여 임하게 되는 것이다. 즉 공무 라 함은 나라정사 일에 종사함을 말 함이요 사무라 하면 개인의 일에 종사함을 말한다. 정사라 함은 공무이요 공무에 종사하는 이는 나라가 주는 급여로 생활을 영위 하게 된다.

79    존 이 감 당 ( 存 以 甘 棠 )
주나라 소공이 남국의 아가위나무 아래서 백성을 교화 하였다.
있을 존(存), 써 이(以), 달 감(甘), 아가위 당(棠),

80    거 이 익 영 ( 去 而 益 詠 )
소공이 죽은 후 남국의 백성이 그의 덕을 추모하여  甘棠詩를 읊었다,
갈 거(居),말 이을 이(而),더할 익(益),읊을 영(詠)
아가위나무는 산사나무를 가리킴이요
산사(山査)나무란 "쌍 덕 입 식물장미 목 장미 과의 낙엽활엽소 교목"  
학명(學名) : Crataegus pinnatifida BUNGE
분류: 장미 과 분포지역:한국,중국,시베리아 등 자생지:산지, 크기:높이 3~6m. 군주가 선정을 펴기 위하여 장미 과에 속하는 아가위 나무아래에서 백성을 교화 하였다는 말은 기아선상에 있는 백성을 달래기 위하여 산사나무열매를 따먹으면서 백성 옆에 바짝 다가섰다는 의미를 갖는다고 사료된다.
本文
아가위나무라고도 한다. 산지(山地)에서 자란다. 높이 3∼6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가지에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에 가까우며 길이 6∼8cm, 나비 5∼6cm이다. 가장자리가 깃처럼 갈라지고 밑 부분은 더욱 깊게 갈라진다. 양면 맥 위에 털이 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2∼6cm이다. 꽃은 5월에 흰색으로 피고 사방 꽃 차례에 달린다. 꽃잎은 둥글며 꽃받침조각과 더불어 5개씩이다. 수술은 20개이며 암술대는 3∼5개, 꽃밥은 붉은 색이다. 열매는 이과(梨果)로 둥글며 흰 반점이 있다. 지름 약 1.5cm이고 9∼10월에 붉은빛으로 익는다. 넓은 잎 산사는 잎이 크고 얕게 갈라지며 열매 지름 약 2.5cm이고, 좁은 잎 산사는 잎의 갈래조각이 좁으며, 가세 잎 산사는 잎이 거의 깃 꼴 겹잎 같이 갈라지고, 털 산사는 잎의 뒷면과 작은 꽃자루에 털이 빽빽이 나며, 자작 잎 산사는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산사자(山査子)라고 하며 건위제(健胃劑)·소화제·정장제로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고기를 많이 먹은 다음 소화제로 쓴다. 유럽에서는 유럽 산사나무의 열매를 크라테거스(Crataegus)라고 하는데, 강심제로 쓰고 5월에 꽃이 피므로 메이풀우워(May flower)라 고도 한다. 한국·중국·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81    악 수 귀 천 ( 樂 殊 貴 賤 )
풍류는 귀천이 다르니 천자는 8일, 제후는 6일, 사대부는 4일, 선일은 1일이다.
풍류 악(樂), 다를 수(殊),귀할 귀(貴),천할 천(賤)

82    례 별 존 비 ( 禮 別 尊 卑 )
예도(禮道)에 준비의 분별이 있으니 군신. 부자.부부. 장유. 붕우의 차별이 있다.
예도 례(禮),다를 별(別),높을 존(尊),낮을 비(卑)
여기에서 귀천과 존비(尊卑)의 구분적 예우가 다른
점을 열거하여 묘제(廟祭) 구분을 신분에 따라 법도로 정한 것 등은 계급주의적 봉건제도의 예를 운운한 것으로 현실적 감각에서 맞지 아니하다.
다만 위계질서 적(位階秩序的) 제도를 규정하고 있다는 사실은 지금이나 예나 별로 다를 바가 없다.

83    상 화 하 목 ( 上 和 下 睦 )
위에서 사랑하고 아래서 공경하므로 써 화목하다.
위 상(上),화할 화(和),아래 하(下), 화목할 목(睦)

84    부 창 부 수 ( 夫 唱 婦 隨 )
지아비가 부르면 지어미가 따르니 즉 원만한 가정을 말함.지아비부(夫), 부를창(唱),며느리부(婦), 따를 수(隨).화합과 화목을 군신간에, 노소간에, 부부간에, 교우간에, 형제간, 이웃간 모두가 상하간의 관계가 있음을 뜻하고 이는 위계질서를 지키며 상호간의 화합하고 친목을 유지 함으로서 평화와 사랑은 존속함을 뜻한다.

85    외수부훈 (外受傅訓)
8歲면 바깥 스승의 가르침을 받아야 한다.
바깥 외(外),받을 수(受),스승 부(傅)가르칠 훈(訓)

86    입 봉 모 의 ( 入 奉 母 儀 )
집에 들어서는 어머니를 받들어 종사하라.
들 입(入),받들 봉(奉),어미 모(母), 거동 의(儀)
우리 나라는 문물교환이 중국과의 많은 교류가 있었고 家錄도 중국과 연관하여 내용 많은 것은 사실이나 오늘날 우리글과 어우러져 중국글을 사용한기보다는 중국을 알고 중국의 문물 중 우리가 알아야 할 내용들을 알 수 있어 한문 공부를 하는 니 한문의 뜻을 우리에게 맞게 파악을 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을 한다.
여기에서 바깥가르침을 전해받는다 함은 집안을 떠나 바깥에서 일어나는 메사를 전수(傳受) 한다 함이요, 8세 미만까지는 바깥일을 잘 모르는 것으로 주로 어머니중심의 가르침과 가족의 보호중심으로 지내 오다가 기발이 서서히 활발해짐으로서 내 집 밖의 대인 관계가 많은 학교생활과 함께 활발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밖에서 나에게 전해오는 모든 것이 스승이다. 이 말은 외수부훈(外受傅訓)에 근거한다. 어릴 때부터 외부에 나아가면 나를 낮추고 겸손할 줄 알아야 함을 훈계(訓戒)하고있다. 밖에 나아가 外受傅訓에 착실한 자는 집에 들어서는 어머니를 도와서 종사함에 행동을 올바르게 행할 것이며 어머니를 돕는다는 의미이다. 이것이 바로 입봉모의(入奉母儀)인 것이다.

87    제 고 백 숙 ( 諸 姑 伯 叔 )
고모.백부.숙부 등 집안내의 친척 등을  말함.
모두 제(諸),시어미고(姑),맏 백(伯),아재비 숙(叔)

88    유 자 비 아 ( 猶 子 比 兒 )
조카들도 자기의 아들과 같이 취급해야한다.
같을 유(猶),아들 자(子),견줄 비(比),아이 아(兒)
근친(近親)이라 하여 고모(아버지의 여자형제)와 백부(아버지의 맞 형) 숙부(아버지의 맞 형을 뺀 형제)등은 가장 가까운 친척이다. 그래서 조카를 자기의 아들과 같이 취급한다는 것이다.

89    공 회 형 제 ( 孔 懷 兄 弟 )
형제는 서로 사랑하여 의좋게 지내야 한다.
구멍공(空), 품을 회(懷), 맏 형(兄), 아우 제(弟)

90    동 기 연 지 ( 同 氣 連 枝 )
형제는 부모의 기운을 같이 받았으니 나무의 가지와 같다. 한가지 동(同), 기운 기(氣), 연할 연(連), 가지지(枝) 공회형제(孔懷兄弟)라 하면 어머님의 배속공간을 거점으로, 열달 동안 자라난 연후에 같은 통로를 통해 우주공간에 위치한 지구표면에 나타나게 되는데 형제는 태어나 자라는 거점과 같은 통로를 거쳐 태양의 빛과 공기와 물을 접하게 된다. 동기연지(同氣連枝)는 부모님의 기(氣)를 같이 이어받아 기운을 타고난다는 뜻이며 형제간을 동기간(同氣間)이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마치 한 줄기의 나무에서 가지가 나는 것과 같은 이치로 부모로 하여금 동기(同氣), 같은 유전자를 이어받은 것으로 나무 가지와도 같다는 뜻이다. 하여 친동기간(親同氣間) 하면 친형제간(親兄弟間)이라는 뜻이다

91    교 우 투 분 ( 交 友 投 分 )
벗을 사귀는데 서로가 분에 맞는 사람끼리래야 한다
사귈 교(交),벗 우(友), 던질 투(投), 나눌 분(分)

92    절 마 잠 규 ( 切 磨 箴 規 )
열심히 닥 고 배워서 사람으로서의 도리를 지켜야
한다. 끊을 절(切),갈 마(磨), 바늘 잠(箴), 법 규
(規). 진정한 교우는 붕우지도(朋友之道)를 지킴이요 서로가 따뜻한 애정을 갖는 동시에 서로 살펴 잘못된 것은 바로 자바주고, 있는 데서 충고하고, 없는 데서는 칭찬하는 믿음의 마음씨가 서로 간직되어야한다

93    인 자 은 측 ( 仁 慈 隱 惻 )
어진 마음으로 사랑하고 또는 이를 측은히 여겨야 한다. 어질 인(仁),사랑 자(慈),숨을 은(隱),슬플 측(惻)

94    조 차 불 리 ( 造 次 弗 離)
남을 위한 동정심을 잠시라도 잊지 말고 항상 가져
야 한다. 지을 조(造),버금 차(次),아닐 불(弗),떠날 리(離).인자(仁慈)마음이 어질고 아랫사람에게 베푸는 두터운 사랑이요, 은측(隱惻)숨기어진 슬픔을 불상이 여기는 것으로 이에 대해 달래어 주는 사랑을 주는 것은 인자은측(仁慈隱惻)이다. 여기에서 인자(仁慈)가 붙지 아니하면 은측(隱惻)만으로는 어진 마음으로 사랑을 베푸는 형용어는 해당이 아니 된다. 압축해서 말하면 외롭고 슬프고 괴로운 사연이 숨어 있는 이 에게 달래어 주는 사랑이라 하겠다
.조차(造次)아주 갑작스러운 것, 불리(弗離) 어그러질 불(弗) 이별할 리(離) 이별함이 어그러지면 떨어질 수 없다는 것으로 잠시라도 잊을 수 없다, 조차
불리(造次弗離)하면 길흉(吉凶)을 막라(莫羅)하고 아주 갑작스러운 일을 당하면 특히 흉사(凶事)에는 동정심을 잠시라도 잊지 말고 위로하고 협력을 아끼지 말라는 뜻이다.

95    절 의 렴 퇴 ( 節 義 廉 退 )
청렴과 절개와 의리와 사양함과 물러감은 늘 지켜야 한다.
마디 절(節),옳을 의(義),청렴 렴(廉),물러갈 퇴(退)

96    전 패 비 휴 ( 顚 沛 匪 虧 )
엎드려지고 자빠져도 이지러지지 않으니 용기를 잃지 말라.
기울어질 전,(顚),자빠질 패(沛),아닐 비(匪),이즈러질 휴(虧),조야(操也)절개 절(節), 검제(檢制)에서 절제할 절(節), 시신 부(示信符)에는 인 절(節), 시후(時侯)에는 때 절(節), 락(樂)에서는 풍류 가락 절(節), 괘명 부(卦名符)에서는 괴 이름 절(節)과 같은 여러 종류의 뜻으로 의미를 갖는다. 옳을 의(義)는 의리 의(義)와, 뜻 의(義)로 읽는다. 성품과 행실이 청백하고 재물을 탐내는 마음이 없는 사람을 청렴한 이라고 한다.
불빈(不貧)에서 청렴할 렴(廉), 저가(低價)할 때에는 쌀 렴(廉), 헐할 렴(廉), 청야(淸也)에는 맑을 렴(廉), 결야(潔也)에는 조촐할 렴(廉)이다.
물러갈 퇴(退)는 양보를 하거나 맞서 봐야 승산이 없을 때 일시 물러선다. 풍류와 가락을 절제하고 성품과 행실은 청백해야하며 재물을 탐내 하지말고 올바른 뜻으로 살아가며 공익을 위해서는 양보도 할 줄 알아야 한다.
경사(傾斜)에서는 기울어질 전(顚), 도(倒) 에서는 뒤집어질 전(顚)로 뜻한다.
주행 묘(舟行묘)에서는 배가는 모양 패(沛), 연우성(然雨盛)에는 비쏟아질
패(沛)로 쓰인다. 비(匪) 는 아닐 비(匪)로 하고. 이즈러질 휴(虧)
청렴(淸廉)과 절개(節槪)가 뒤집어지지 아니하면 자빠져도 이즈러지지 않는다.
고로 전패비휴(顚沛匪虧)가 성립되는 것은 앞에 있는 글句인 절의렴퇴(節義廉退)의 뜻을 바로 익힌 자 에게 해당이 되는 것이다.

97    성 정 정 일 ( 性 靜 情 逸 )
성품과 뜻이 고요하면 편안하니 고요함은 천성이요 동작함은 인정(人情)이다.
성품 성(性),고요 정(靜),뜻 정(情),편안할 일(逸)

98    심 동 신 피 ( 心 動 神 疲 )
마음과 신기가 움직이면 피곤하고 마음이 불안하면 신기가 불편하다.
마음 심(心),움직일 동(動),귀신 신(神),피곤할 피(疲)
성정정일(性靜情逸)성품은 뜻이요 고요함은 편안함이다. 천리부명(天理賦命)에서 성품 성(性)다음에 정(情)이 따르면 마음 성(性),질야(質也)는  바탕 성(性), 욕(欲)에서는 색욕성(色欲性)로 각각 그 뜻을 다르게 함을 볼 수 있다.
하여 정(情)을 성지동의야(性之動意也)에서는 뜻 정(情)인데 실 야(實也)에서는 실정 정(情)로 심중(心中) 마음속 정(情)로 그 뜻을 달이 하고있다.
고요 정(靜)은 동지대(動之對)에서 고요 정(靜)이요
,모야(謀也) 에서는 꾀할 정(靜), 안야(安也)에 편안할 정(靜), 식야(息也)에서는 고요 정(靜)로, 적야(寂也)에서는 고요할 정(靜)이다.
편안할 일(逸)은 락야(樂也)이고, 종야(縱也)에서 놓일 일(逸), 은야(隱也)에서 숨을 일(逸), 실 야(失也)는 잃을 일(逸), 방야(放也) 놓을 일(逸), 분(奔)에서는 달아날 일(逸), 우야(優也)에는 뛰어날 일(逸)이다.
이러한 글귀를 놓고 보면 글자라는 것은 앞과 뒤에 붙이는 글자나 단어에 따라 얼마나 민감한 영향을 주게 되는지를 짐작이 간다. 사람은 갈 곳이나 설 곳을 먼저 생각을 하고 마음과 행동을 정 하여야 하며, 가서는 아니 될 곳을 가거나 머물 거리지 못할 곳에서 머물 거리거나 정을 함부로 통해서는 아니 되며 매사에 심사숙고(心思熟考) 해야 한다.

99    수 진 지 만 ( 守 眞 志 滿 )
사람의 도리를 지키면 뜻이 차고 군자의 도를 지키면 뜻이 편안하다.
지킬 수(守), 참 진(眞), 뜻 지(志),찰 만(滿)

100   축 물 의 이 ( 逐 物 意 移 )
마음이 불안함은 욕심이 있어서 그렇다. 너무 욕심내면 마음도 변한다.
쫓을 축(逐), 만물 물(物), 뜻 의(意), 옮길 이(移)
내가 지켜야 할 뜻이 참 뜻으로 꽉 차면 그 행 함이란 군자의 도가 될 것이며 나아가 편안하다. 예를 들면 가세(家勢)가 기울어져 어려운 아버지가 연명(連命) 하기에 급급하여 자식들은 하나도 학업에 진출을 시킬 수 없었다. 그 중에도 큰아들께서 결의를 한다. 나는 일터에 나가 노동을 하되 노동기술을 배우며 지킬 뜻을 거짓없는 참(眞)로 꽉 채우고 충실할 것을  다짐한다.
1.지킬 수(守) 3.뜻지(志). 2.참진(眞).4.찰 만(滿)순으로 풀이를 한다.
수진지만(守眞志滿)의 어조사(語助辭)풀이를 보자. 사람의 도를 지키면 뜻이 차고 군자의 도를 지키면 뜻이 편안하다.
사례(事例)어려운 가정사리를 하는 한 아버지의 큰아들 결의는 결코 성공적이며 가세(家勢)는 호전(好轉)되어 저축(貯畜)을 하게 되고 20년이 되자 부자가 되었다. 그 아들은 만학(晩學)을 하게 되고 어려운 길을 걸어온 아버지의 손자 대(孫子代)에 와서는 모두 대학을 마치고 석박사의 학위를 받은 생생한 사례가 얼마든지 있다. 이 내용은 참뜻이 찬 군자의 도를 지킨 결과 온 집안에 영화와 부귀가 함께 하는 편안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천자문 한자 공부를 하고 보니 한자 四字式 한글句로 된 글귀에 관련한 뜻풀이 어조사(語助辭)공부와 글귀의 뜻을 읽어 나가는 요령을 알게 되었다.
천자(千字)로 된 한자문(漢字文)의 표기방식은 앞 句에 4자, 뒷 句에 4자로, 한 글句(글의 끊어진 구절)로 구성되어있고 어조사(語助辭)에 따라 글귀의 풀이를 1. 3. 2. 4 순(順)로 하도록 되어있다.
축물의이(逐物意移) 이 글귀를 풀면 1.쫓기는 3.뜻에서 2.물건을 4.옮긴다.
남의 물건을 훔치는 도적은 잡히면 큰 봉변(棒變)을 당하니 불안 합과 쫓기는 마음으로 물건을 옮긴다. 하여 그의 발단은 욕심에서 마음이 변한 것으로 화를 자초하는 꼴이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도 1. 3. 2. 4순으로  글귀를 풀면, 1.도적이 남의 물건을 훔칠 때는 불안하니 마음이 쫓기면서 3.남의 물건을 훔치겠다는 뜻이어서 2.남의 물건을 4.훔쳐 옮기니 이는 욕심의 발동에서 행하는 도적놈의 처사이다.
(●색의 글자는 어조사격)

101   견 지 아 조 ( 堅 持 雅 操 )
맑은 절조(節操)를 굳게 가지고 있으면 나의 도리를 극진히 함이라.
굳을 견(堅),가질 지(持),바를 아(雅),잡을 조(操)

102   호 작 자 미 ( 好 爵 自 縻 )
스스로 벼슬을 얻게 되었으니 天作을 극진하면 人爵이 되었다는 사실이 되다.
좋을 호(好), 벼슬 작(爵), 스스로 자(自), 얽을 미(縻), 맬 미(縻).
어조사(語助辭)에 맑은 절조(節操)라 했으니 이것은 절개(節槪)와 지조(志操)를 굳게 지키는 것,
하여 굳을 견(堅)은 굳고 바른 절조(節操)를 지킨다
. 가질지(持)에서는 절개와 지조를 지킨다. 잡을 조(操)는 소수지행절(所守志行節)에 지조 조(操)로 풀이했다.
예(例)들면: 신하가 나라를 위하여 굳고 바른 지조를 갖고 충절(忠節)을 다했다. 여인이 극진히 사랑한 남편을 따르기 위해 굳고 바른 절개를 간직하고 평생을 살아가다. 호작자미(好爵自미)에 관한 뜻풀이는 쉽지 아니하다. 어조사(語助辭)를 쉽게 이해하기도 어렵다.
좋아하기 때문에(好) 스스로가(自) 벼슬(爵)에 매이다.(맬 미字). 누가 시켜서가 아니고 자율적으로 좋아한 벼슬에 매이게 되다. 여기에서 매이게 된다는 관직(官職) 에 임하게 되었다 로 보면 자율이란 천성(天性)로 천작(天作)이요 극진이란 매우 다 하다 로 벼슬을 자율적으로 좋아 했으니 얻게 된 벼슬은 인작(人作)이다.
좋아했기에 스스로 벼슬에 매이게 되었으니 최선을 다하면 나에게 큰 도움이 된다. 여기에서 또 한 가지를 발견한 것은 천자문에서 글귀의 어조사(語助辭)는 한문의 토, 아무런 실질적인 뜻이 없이 문장을 이루는 데에 보조 역할만 하는 글자. 글 뜻풀이를 위한 도움의 말씀 뿐만은 아니고 글을 익히고 행하는 자(者)를 훈계(訓戒:admonish)까지 적절하게 하고 있다는 것.

103   도 읍 화 하 ( 都 邑 華 夏 )
도읍은 왕성의 지위를 말한 것이고 빛나는 당시의 중국을 지칭한 것이다.
도읍 도(都),고을 읍(邑),빛날 화(華),여름 하(夏)

104   동 서 이 경 ( 東 西 二 京 )
동과 서에 두 서울이 있으니 동경은 낙양이고 서경은 장안이다.
동녘 동(東), 서녘 서(西), 두이(二), 서울 경(京)

105   배 망 면 락 ( 背 邙 面 洛 )
동경은 북에 북망산이 있고 낙양은 남에 낙천이 있다.
등 배(背),산 이름 망(邙), 낯 면(面), 물 락(洛)

106   부 위 거 경 ( 浮 渭 據 涇 )
위수에 뜨고, 경수를 눌렀으니 장안은 서북에 원천. 경수. 두 물이 있다.
뜰 부(浮), 물 이름 위(渭), 웅거할 거(據),경수 경(涇).중국의 낙양은? 낙양을 중심하여 산 이름 망(邙)로, 하남성 낙양의 북쪽에 있는 산이며 북망산을 지적한다. 중국의 북망산은? 귀인과 명사의 무덤이 많은 곳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의 동경위치는? 낙수를 거슬러 올라가고 황하를 등지고 있다.
중국의 위수는? 감숙성 위원 현 (甘肅省渭源縣)에서 발원하여 섬서 성을 거쳐 황해로 흘러 드는 강이 위수이다.
거(據)는 웅거(雄據)하다 의 뜻이며 경은 경수를 가리킨다. 경수(涇水)는 감숙성(甘肅省) 화평현(化平縣)과 고원현(固原縣) 두 군데서 발원하여 합류한 후 섬서 성에 이르러 위수로 흘러 들어가는 강이다.
부위거경(浮渭據涇)은, 간접적으로 나타나는 동경(東京)로 동쪽수도를 가리킴이요 도읍지의 풍경을 읊은 글이다.
1.뒷 3.면은 2.낙양과 4.북망산이 있고, 도읍지 동경이 마치 1.떠(浮)서 3.웅거(雄據)하는 것으로 보이게하는 2.위수(渭水)와 4.경수(涇水)들의 운치(韻致)로 운 기상을 읊은 글.

107   궁 전 반 울 ( 宮 殿 盤 鬱 )
궁전은 울창한 나무사이에 서린 듯 하고.
집 궁(宮), 대궐 전(殿), 쟁반 반(盤), 담담할 울(鬱)

108   루 관 비 경 (樓觀飛驚)
궁전 가운데 있는 물견 대(物見臺)가 높아서 올라가면 나는 듯하여 놀란다.
다락 루(樓),볼 관(觀), 날 비(飛), 놀랄 경(驚)
궁(宮)은 집 궁 이라 부르기 시작했는데 [고자귀천동칭궁 진한이래 유왕자소거칭궁언(古者貴賤同稱宮 秦漢以來 唯王者所居稱宮焉)]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옛날에는 귀천에 구별없이 거주하는 곳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다가 진한(秦漢) 이래 유독 왕의 거처만을 궁 이라 칭하게 되었다는 말이다. 殿(큰집 전)은 거대하고 장엄한 당우(堂宇)궁성 불각(佛閣)따위에 붙는 말이다. 쟁반 반(盤)인데 다른 호칭으로 악야(樂也) 유(遊)에는 즐거울 반(盤) 이다. 담담할 울(鬱), 울울창창(鬱鬱蒼蒼):나무가 매우 푸르고 빽빽하다. 다락 루(樓)는 接尾일부 名辭뒤에 붙어 높은 집을 의미한다. 볼 관(觀)은 궐야(闕也)- 대궐 관(觀)로 뜻함. 날 비(飛)나르는 의 뜻을 높은 곳에 처함을 말함, 놀랄 경(驚)은 구야(懼也)에서 두려울 경(驚)이다.宮은 즐거운 대궐과 울창한 나무의 무성함이 어우러져 울울창창(鬱鬱蒼蒼) 하고 루각(樓閣)은 높아서 나르는 듯 보이니 오르면 놀란다.
궁전반울(宮殿盤鬱)이라 하였는데 어찌하여 쟁반 반(盤),그리고 악야(樂也)의 놀 유(遊)에 즐거울 반(盤)이 글의 절구(節句)에 들어 있을 고? 평화로움과 귀함이 있는 궁인지라 흥겨운 가무(歌舞)가 분분(芬芬)함을 의미하지는 아니했을까?.
그리고 높이 치솟는 루각전망대(樓閣展望臺)의 웅비(雄飛)함을 루관비경(樓觀飛驚)이라 표현함이 돋보이다.

109   도 사 금 수 ( 圖 寫 禽 獸 )
궁전내부에는 유명한 화가들이 글인 그림, 조각 등으로 장식되어있다.
그림 도(圖), 베낄 사(寫), 날짐승 금(禽), 짐승 수(獸)

110   화 채 선 령 ( 畵 彩 仙 靈 )
신선과 신령의 그림도 화려하게 채색되어 있다.
그림 화(畵), 채색 채(彩), 신선 선(仙), 신령 령(靈)
여기에서 도사금수(圖寫禽獸)라는 글귀에는 궁전이란 찾아볼 수 없는데 왜 궁전내부 풀이를 했을까?
전문(前文)에서 궁전반울(宮殿盤鬱)에 관한 웅비한 외모와 높게 솟아오른 궁궐의 운치를 표현 한 것에 이어 이번은 宮의 내부에 장식된 금수와 仙靈을 도사화한 것을 표현 했다.
글자의 뜻 풀이를 하면 도사(圖寫)는 그림을 그리거나, 도(圖)는 계획의 뜻 즉 의도(意圖)함이요, 사서(寫書)글을 베끼다 의 뜻으로 변하였다. 금수(禽獸)새와 짐승을 칭함이요 <<백호통의>>에 금자하 조수지총명(禽者何 鳥獸之總名) 이라는 구절에 적기를 새란 새 짐승을 莫羅한 것이라는 의미이다. <<이아석고>>에는 이족이우위지금 사족이모위지수(二足二羽謂之禽 四足而毛謂之獸)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것은 두 다리에 두 날개가 있는 것은 새라 하고, 발이 넷이며 털이 있는 것은 짐승이라 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사람을 금수에 다를 바 없다 할 때는 인륜을 벗어난 불륜한 자로 뜻한다. 화채(畵彩)는 채색으로 그린다는 뜻이요, 선령(神靈)은 신선(神仙)과 영위(靈位)를 말한다.

111   병 사 방 계 ( 丙 舍 傍 啓 )
병사 곁에 통로를 열어 궁전 내를 출입하는 사람들의 편리를 도모하였다.
남녘 병(丙), 집 사(舍), 곁 방(傍), 열 계(啓)
(제111句~118句까지는 1.3.2.4를 뜻풀이 숙제로 둠)

112   갑 장 대 영 ( 甲 帳 對 楹 )
아름다운 갑장(甲帳)이 기둥을 대하였으니 동방삭이 甲帳을 지어 임금이 잠시 정지하는 곳이다.
갑옷 갑(甲), 휘장 장(帳), 대할 대(對), 기둥 영楹)
丙舍傍啓를 알기 위해 특정 글귀가 있음을 지적하면
,병사궁중지실 이갑을병정위차야(丙舍宮中之室 以甲乙丙丁爲次也), 남녘 병(丙),천간 병(丙), 밝을 병(丙),집 사(舍):가옥.거처. 머물 을 사(舍):머물러 휴식함. 곁 방(傍):옆방. 열 계(啓) 열어 준다. 갑옷 갑(甲)은 갑주(甲胄:투구),첫째 갑(甲) 이것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등등 1. 2. 3. 4. 5. 6. 7. 8. 9. 10 순으로 표기했다.
휘장 장(帳)字가 있으니 그 뜻은 장막(帳幕): 울타리 역으로 담을 둘러치는 것으로 속이 보이지 않도록 둘러친 막(幕)이다. 이것은 토석(土石) 담으로 보아야하며 토석(土石)담은 비를 막아 주는 덮개를 덮어 비에 허물어지지 않도록 그 수명을 유지하는 것이다. 다음은 천막 장(帳)은 유목민의 옥사(屋舍)
,장부 장(帳)은 치부책 이다. 보답할 대(對), 대답할 대(對), 갚을 대(對).짝 대(對)등등으로 표기한다. 영동 영(楹):기둥과 마룻대:영동(楹棟). 참고로 용 마룻대 동(棟)
전절(前節)병사방계(丙舍傍啓)의 소박한 뜻은 궁궐 안에는 정전(正殿)을 중심으로 많은 관사가 있는데 이 관사에서 다른 관사를 우회하면서 목적하는 곳으로 가기위해 돌고 돌아서 가야하는 단점을 보안하여 지름길 방향으로 갈 수 있는 문을 상시로 열어 놓아 불편을 덜어 주었다.
후절(後節)에서는 그 뜻 초점(焦點)왈(曰) 궁중대궐 영역경계를 서민의 울타리와는 다른 의미로 갑장대영(甲帳對楹)이라 한 것은 풀이를 하면 갑옷과 갑주(甲胄:투구)를 대하는 토석(土石)담은 영동(楹棟)을 지킨다. 거장의 궁궐을 웅장(雄壯:grandeur)한 장막으로 궁궐과 그 대들보를 지킨다.로 표현 해 본다.참고: 우리말 국어사전에서
1.한데 에서 별를 가리고 또는 비를 막고 사람이 들어가 있도록 둘러치는 막(tent)은 기둥이 있는 것,
2.속이 보이지 않도록 둘러치는 막이라 표기하는 것은 기둥이 없는 담장을 의미 하는 것.

113   사 연 설 석 ( 肆 筵 設 席 )
자리를 베풀고 돗[고어](돗자리)을 베푸니 연회하는 좌석이다.
베풀 사(肆), 늘어놓을 사(肆), 방자할 사(肆), 가게 사(肆),자리 연(筵), 베풀 설(設), 자리 석(席)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사자료실 안내 [1] 관리자 2005-01-05 37526
91 고종 칙명 imagefile [63] id: 광원광원 2010-02-19 11847
90 카페지기는 자기를 의성 김씨라고 말 할 수 있는가? [2] * 2010-02-09 13497
89 항일지사 金 在 龜 image [1] id: 광원광원 2010-02-03 12865
88 삼십육계(三十六計) id: 광원광원 2009-08-11 12156
87 천자문 해설 - 3 [3008] id: 광원광원 2009-02-10 75402
86 天字文 解說 - 2 [405] id: 광원광원 2009-02-10 37835
» 천자문 해설 - 1 id: 광원광원 2009-01-19 29015
84 노자의 도덕경에서 - 삼보 id: 광원광원 2009-01-16 11225
83 菜근譚 id: 광원광원 2009-01-07 15995
82 경순대왕님의 4子이신 錫 할아버님에 대한 자료 imagefile 김홍엽 2007-08-27 13604

  • 서울시 강서구 화곡5동 95-54 (신도로명주소:화곡로229)문소빌딩 5층 02)796-5322 fax 02)797-9511 eskim5323@naver.com
    Copyright by Internet Total Infomation Center (인터넷종합정보센터)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김이오.넷 (金在洙)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