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해설 - 3

조회 수 75408 추천 수 23 2009.02.10 14:19:23
203   포 어 팽 재 ( 飽 飫 烹 宰 )                        
배부를 때에는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그 맛을 모른다.  
포어팽재(飽어烹宰) 1.배부를 때에는 3.요리를 잘한 아무리 좋은 음식(飮食)도 2.그 맛을 다스리지 못한다.
간체자(簡體字)
훈 음 : 실컷 먹을 어(어)
꾀함.또는 꾀한 계책.계략;計掠은 trick). 그릴 유(猷).그림을 느림. 간체자(簡體字)
훈 음 : 실컷 먹을 어(어), 배부를 어(어)
부수 : (밥식 部)
획수 : 13 (부수획수:9)
난이도 : 확장 한자 (배부를 어)
뜻풀이 : ㉠실컷 먹다(배부를 어)
㉡잔치
유의자 : ?  
배부를 때에는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그 맛을 모른다.
1.배부른 다음에는 3.삶고 익힌 요리도                                                  2.실컷 먹었기 때문에 4.여러 가지 맛을 모른다.          
배부를 포(飽)실컷 먹을 어(어), 배부를 어(어), 삶을 팽(烹). 물 속에 넣어 익힘, 요리 팽(烹),官칭에재상 재(宰);主也에 주관할 재(宰),首也에 으뜸 재(宰),烹也에 삶을 재(宰), 治也에 다스릴 재(宰),칼을 가지고 고기를 저며 요리함(여러 가지 맛을 낸다는 뜻이다),  

204   기 염 소 강 ( 飢 厭 糟 糠 )
반대로 배가 고플 때에는 겨와 재강도 맛있게 되는 것이다.배가 1.배가 고플 때는 3.술 찌꺼기도 2.만족하고 4.겨도 맛이 있다.
주릴 기(기). 배가 고프다,  싫을 염(厭), 만족할 염(厭), 술 제강 조(糟), 지게미 조(糟). 조박(糟粕 : 술을 거른 찌꺼기), 겨 강(糠).
學習考 : 일반 옥편이나 사전에 있는 글자를 "컴퓨터"로 漢字換置할 때, 없는 글字가 간혹 있으니 어려움도 있지만 廣範한 뜻과 用途에 걸 맞는 漢字를 찾는 것 또한 學習의 方法이기도 했다. 특히 漢文字를 많이 모르는 初步입장에서 漢文字를 익히고 그 뜻을 알기 위한 첫入門者가 배우는 것이 千字文이라는 誤解 때문에 더더욱 盲目的 暗記式 주입을 하는 學習態度를 脫皮해야 했고, 合理的 學習方法은 中國에서 由來된 千字文의 깊은 뜻을 알기 위해 뜻 글의 眞意를 把握 해 보았다.
그것은 하나의 글자가 11종류(種類)의 뜻으로 기표된 것도 있었고. 뜻과 音이 같은 데 글자 모양이 8種類나 되는 것도 있었다. 이와 같은 것을 미루어 볼 때 漢文의 初期入門을 하는 사람도 쉽게 경험 할 수 있도록 學習方法의 改善이 되어야만 했다.
第1句  天地玄黃, 第2句  宇宙洪荒 에서 언급해온 뜻 풀이를 1. 3. 2. 4 順에 따라 하고 있었다는 것, 그 이해를 돕기 위하여 圖解법을 草案하였으며, 본 圖解法에 따라 千字文 200句까지 뜻 풀이學習을 쉽게完成 할 수 있었고, 또한 先人들이 해 놓은 뜻 풀이와 壹致됨을 確認 할 수 도 있었다. (圖解法 그림 參照)

205 친 척 고 구 ( 親 戚 故 舊 )
친 은 동성지친이고 척은 이성지친이오 고 구는 오랜 친구를 말한다.
어버이 중 어머니를 뺀 1.친(親)의 3.연고 (故)란
同姓關係요 2.겨래 척(戚)관계는 이성지친(異姓之親)이오 4.옛 구(舊)라 하면 오래 사귄 벗이로다. 하여 친 은 동성지친이고 척은 이성지친이오 고 구는 오랜 친구를 말한다.
친할 친(親). 사이가 가깝다는 뜻, 사랑할 친(親), 친전(親展). 수신인이 직접 펴 보아 주시기를 바란다는 뜻, 겨래 척(戚). 인척을 말한다, 인, 친척(姻親戚), 슬퍼할 척(戚). 애척(哀戚). 서러워함, 근심할 척(戚). 우려함, 옛벗 고(故), 연고 고(故), 고구(故舊). 사귄 지 오래된 친구, 예 고(故). 옛날 옛일, 일 고(故).事件.事項, 고거(故居). 옛날 살던
집, 짐짓 고(故). 일부로. 고의(故意),고로 고(故). 그런 고로, 옛 구(舊). 오래 사귄 벗. 일견여구(一見如舊), 예 구(舊). 옛날. 옛일, 구의(舊誼; 옛 장의) 오래 구(舊). 세월이 많이 경과함, 구관(구관; 예전부터 내려오는 관례)

206   로 소 이 량 ( 老 少 異 糧 )
늙은이와 젊은이의 식사가 다르다.
1.늙은이와는 3.다르게 2.젊은이는 4.량식(糧食): (provisions;공급, 지급, 제공, 支給量)이 다르다. (즉 질과 량과 관리가 다르다.)
늙을 로(老). 나가 많은 자. 해로(偕老; 부부가 같이 늙음), 어른 로(老) 연장자. 선배.부로(父老; 노인), 익숙할 로(老). 숙달함.노련(老練)함, 젊을 소(少). 나이가 적음. 소기(少妓; 어린 기생), 다를 이(異). 같지 아니함, 괴이할 이(異). 괴상함.기괴(奇怪). 괴이(怪異), 양식 량(糧), 구실 량(糧). 구실이란 조세의 총칭.포량(逋糧). 구실을 바치지 아니함. 구실;모든納稅의 총칭(taxes)
學習考:위의 106句는 漢字의 뜻을 오해하면 참뜻이 다른 방향으로 解釋되기 쉬운 글句이다. 糧食에 관하여는 주의할 대목이다. (량식의 참뜻은 위의 4 " provisions;공급, 지급, 제공, 支給量에 주목한다)
皐 언덕 고(이 글자는 제180句 림고행즉:林皐幸卽)
㉠언덕 ㉡부르는 소리 ㉢늪 ㉣느리다 ㉤높다  
한자  : 皐  
훈음  : 언덕 고  
부수 :  (흰백 部)
획수  : 11 (부수획수:5)
난이도  : 인.지명용 한자, 2급  
뜻풀이 : ㉠언덕
㉡부르는 소리
㉢늪
㉣느리다
㉤높다

207   첩 어 적 방 ( 妾 御 績 紡 )
남자는 밖에서 일하고 여자는 안에서 길쌈을 짜니라
1.여자는 안에서 3.길쌈을 하고 2.모실 어(御)에(侍從臣.남자)는 외부에서 4.일한다.
요약:여자는 안에서 길쌈을 하고 남자는 외부서 일한다.
첩 첩(妾). 여자의 겸칭(謙稱), 모실 어(御).시종(侍從: 侍從臣로 왕을 모셔 護從하는 臣下), 어거할 어(御), 마부 어(御), 괼 어(御).부녀를 총애함, 드릴 어(御). 어가(御駕). 어필(御筆) 길쌈 적(績), 길쌈 방(紡)은 길쌈하는 뜻 보다 일 이라 하는 뜻이 우선한다. 治麻로 길쌈 적(績)은 업(功業)에 綱絲라 함은 밧줄이다. 功績 成也 이룰 적(績). 繼也 이을 저(績). 事也 일 적(績). 功也에 功勣은 事業로 사업 적(勣)이니 남자의 일이다, 실 뽑을 방(紡)       남자는 밖에서 일하고 여자는 안에서 길쌈을 짜니라
(1.여자는 안에서 3.길쌈을 하고 2.모실 어(御)에(侍從臣.남자)는 외부에서 4.일한다. 로 다시 확인)
요약: 여자는 안에서 길쌈을 하고 남자는 외부서 일한다.
첩 첩(妾). 여자의 겸칭(謙稱), 모실 어(御).시종(侍從: 侍從臣이며 왕을 모셔 護從하는 臣下), 어거할 어(御), 마부 어(御), 괼 어(御).부녀를 총애함, 드릴 어(御). 어가(御駕). 어필(御筆) 길쌈 적(績), 길쌈 방(紡)은 길쌈하는 뜻 보다 일 이라 하는 뜻이 우선한다. 治麻로 길쌈 적(績)은 공업(功業)에 綱絲라 함은 밧줄이다. 功績 成也 이룰 적(績). 繼也 이을 저(績). 事也 일 적(績). 功也에 功勣은 事業로 사업 적(勣)이니 남자의 일이다 실 뽑는 방(紡)  

208   시 건 유 방 ( 侍 巾 帷 房 )
장막 유字 의 뜻은  휘장 유(유)와 같고, 幕也에서 장막 유(帷)로 이는 곳 帳幕이다. 장막은 밖에서 별 또는 비를 막고 사람이 들어가 있도록 둘러친 막 이다.즉 tent이다. 유방에서 모시고 수건을 받으니 처첩의 하는 일이다.
1.모시기 위해 3.유방에서 2.수건이나 빗을 들고 처첩이 있는 4.房中의 행하여지는 시중 꾼.
(a personal servant) 처지 이다.
요약 : 모시는 군자를 위해 유방에서 수건과 빗을 드는 것은 처첩의 일이다.
모실 시(侍), 수건 건(巾), 시건(侍巾)하면 시집건즐(侍執巾櫛)의 略稱인데 妻妾이 男便의 左右에서 수건이나 빗을 들고 겉모양을 갖추어 준다는 말이다
.장막 유(유). 유房 이라 하면 방이나 또는 창문에 치는 휘장이라는 뜻이다, 방 방(房), 집 방(房), 곁방 방(房),집의 正室 옆에 있는 房. 첩(妾) 이라 함은 맞아 오지 아니 했음에도 와서 군자를 섬기는 여자.
學習考:207句와 208句는 학습을 하면서도 글귀의 뜻을 파악하기에 힘이 드는 것을 체험하면서 역시 천자문 뜻풀이는 1. 3. 2. 4 순으로 해야만 원문 解에 接近 될 것으로 믿어진다.
千字文의 원문 각구 모두를 제1句 天地玄黃,제2句 宇宙洪荒 에 관한 뜻 풀이 와 같이 제1句 하늘은 위에 있으니 검고, 땅은 아래에 있으니 누르다.1. 3. 2. 4순으로 풀이를 했다.
제2句 유한의 집은 넓고, 무한의 집은 끝이 없다.
1. 3. 2. 4순으로 풀이를 했다.
여기에서 유방과 처첩은 매우 주목이 된다. 창문에 휘장을 친 방을 유방이라 했을 가능성과, 그리고 처첩은 군자의 시중을 드는 것이 그들의 일이라는 것으로 인식했다는 점이다. 또 한가지는 휘장을 친 방 즉 유방에서 여자가 남자의 시중 드는 실상을 남에게 보이지 아니하는 범절을 시사했다고 생각된다.
끝으로 강조 하고 싶은 것은 4言古體詩文인 千字文은 뜻 풀이 순서를 1. 3. 2. 4順로 하면 깊은 뜻이 다 노출 되어 매우 흥미롭다.  
제3句에서 제208句 까지 모두를 1. 3. 2. 4順로 뜻 풀이를 해도 예전부터 전해오는 千字文 原文 뜻 풀이 內容과 다름이 없음을 確認 했다.
휘장 유(유)와 같고, 幕也에서 장막 유(유)로 이는 곳 帳幕이다. 장막은 밖에서 별 또는 비를 막고 사람이 들어가 있도록 둘러 친 막 이다. 즉 tent 이다
.유방에서 모시고 수건을 받으니 처첩의 하는 일이다.
1.모시기 위해 3.유방에서 2.수건이나 빗을 들고 처첩이 있는 4.房中의 행하여지는 시중 꾼(a personal servant) 처지 이다.

209   환 선 원 결 ( 紈 扇 圓 潔 )
깁 부채는 둥글고 깨끗하다.
1.흰 깁으로 만든 3.둥근 2.부채는 4.깨끗하다.
요약을 하면 흰 깁 둥근 부채는 깨끗하다.
깁으로 만든 둥근 부채는 깨끗하다.
흰 비단 환(紈), 흰 깁 환(紈). 고운 명주. 紈과子弟[誇:사치할 과,사랑할 과].漢代의 貴族의 子弟만이 입던 옷이므로 貴族의 子弟를 이르는 말,부채 선(扇), 둥글 원(圓), 맑을 결(潔)

210   은 촉 위 황 ( 銀 燭 煒 煌 )
은 촛대 촛불은 빛나서 輝惶 찬란하다.
1.은 촛대 3.빛은  2.촛불에 의해 4.찬란하다.
벌건 위(위)字는 빛날 휘(煇) 와 같이 쓰인다.  
한자  : 輝  
訓音  : 빛날 휘  
부수 :  (수레거 部)
획수  : 15 (부수획수:7)
난이도  : 고등용 한자, 3급  
뜻풀이 : ㉠빛나다
㉡빛날위字는=불화변에 가죽 위 (火韋)하면 밫날 위 字
불화(火), 가죽 위(韋)
煇 총 13획  빛날 휘, 햇무리 운  ㉠빛나다 ㉡지지다 ㉢빛 ⓐ햇무리 (운)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 [부수]불화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불화(火(=?)☞불꽃)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軍(군)의 전음(轉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은 촛대의 촛불은 빛나서 휘 황 찬란하다.
1.銀製의 촛대는 3.빛이 나고 2.촛불에 의하여 4.휘황하다.
은 은(銀), 촛불 촉(燭). 촉가(燭架), 초 촉(燭), 빛날 위(위), 빛날 황(煌)..(빛날 위(위)字와 빛날 휘(輝)는 輝惶을 일으키는 반사(反射)조건이다.
1.은(銀)로 만든 촛대의 3. 빛이 2.촛불에 의해 4.휘황하다.
요약하면 銀製 촛대의 빛은 촛불에 의하여 輝煌하다
.학습장:깁은 흰 명주, 또는 흰 비단이라는 뜻.
銀燭위煌은 銀製촛대와 빛의 관계로 輝煌을 일으키는 사치와 찬란함이 어우러진 高級의 表現이다.

211   주 면 석 매 ( 晝 眠 夕 寐 )                                  
낮에 낮잠자고 밤에 일직자니 한가한 사람의 일이다
.1. 낮이나 3. 저녁이나 2. 잠 자니 한가한 사람의 4. 매식이로다.
낮 주(晝). 낮 주는 밤 야(夜)의 대응 말이니 저녁하면 야의 시작이다. 하여 저녁 석(夕)은 이른 밤이다
, 잠잘 면(眠).수면을 취함이요. 면식하면 잠자는 일과 먹는 일이다, 쉴 면(眠)은 휴식을 취함이다, 시들 면(眠). 초목이 시들어 처짐이요 일일삼면삼기(一日三眠三起)라는 말이 있다, 저녁 석(夕). 해질녘.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는 가히 죽는 이라(朝楣而夕死可矣) 여기에서는 仁義忠孝之道의 듣 음 이란 공부를 많이 했다는 것이다.그리고 夕死可矣는 저녁에는 가히 죽는 듯 잠든다.의(矣)는 어조사 의(矣)로 결사(決辭)인즉 말끝일 의(矣)로 푼다, 잠잘 매(寐), 매식(寐息)하면 코를 고는 것 즉 깊은 잠을 잔다는 뜻이다,

212   람 순 상 상 ( 藍 筍 象 牀(床))
푸른 대순과 코끼리상이니 즉 한가한 사람의 침대이다.
1. 푸른 3. 꼴의 2. 대나무로 만든  4. 침상은 한가롭다 .
쪽 람(藍). 마디 풀과에 속하는 일년초로서 잎은 남빛 물감의 원료가 된다, 남빛 람(藍). 진한 푸른 빛
, 누더기 람(藍)은 남(襤)과 통용된다, 절 람(藍). 불사(佛寺). 가람(伽籃), 죽순 순(筍),대순 순(筍). 죽순(竹筍), 코끼리 상(象), 상아 상(象). 코끼리의 입 밖에 나온 앞니, 꼴 상(象). (像) 字와 같이 인다, 본뜰 상(象). 형상(形象; 본떠 모양을 그림)  조심 상(象). 외면에 나타난 형상. 성상(星象). 별에 나타난 조짐,평상 상(床). 나무로 만든 걸상을 겸한 침상(寢牀). 평상 상(牀), 침상을 겸한 평상과, 걸타고 앉기만 하는 평상과 구별을 하고 있는 것이 주목된다.

213   현 가 주 연 ( 絃 歌 酒 醼(宴))
이야기할 연(讌),(잔치 연(연)과 宴 은 같이 쓰인다.      
거문고를 타며 술과 노래로 잔치한다.
1. 악기를 울리며 3. 술도 마시고 2. 노래도 부르며 4. 잔치한다.
악기 줄 현(絃). 현가(絃歌) 하면 현악기와 어울려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 현악기 하면 거문고를 뜻 한다, 노래 가(歌), 술 주(酒). 주연(酒)하면 酒宴로 같이 쓰이기도 한다, 잔치 연(宴)

214   접 배 거 상 ( 接 杯 擧 觴 )
작고 큰 술잔을 서로 주고받으며 즐기는 모습이다.
1. 대접을 위해 3. 들고 있는 2. 잔은 서로 주고받는 4.술잔이다.
접대할 접(接), 잔 배(杯). 접배(接杯). 잔을 주기도하고 받기도 한다는 뜻,
들 거(擧), 거상(擧觴). 擧는 들어 올리는 것. 觴은 술잔을 뜻한다,술잔 상(觴)
學習考 : 본 절은 연회음주의 즐거움에 대해 서술한 글이다. 예나 지금이나 손님을 맞는 초인사로 (대객초인사;對客初人事)담배를 권하고 술상을 나오게 한다. 상류의 가정에서는 의래 거문고를 잡히고 이에 어울려 노래하면서 계속하여 술잔을 주고받는다. <<논어>>양화편(陽貨篇)에 보면 [공자께서도 무성에 가셨을 때 거문고에 맞춰서 부르는 노랫소리를 듣 으 셨다(子之武城 聞絃歌之聲)라는 句節이 있다. 거문고를 탄다는 것은 당시 상류층의 교양의 일부였음을 알 수 있다.음주(飮酒) 가무(歌舞) 담론(談論) 등은 고대에는 물론 현대에 이르러서도 문화인들은 즐겨 하는 행사들이다.  

215   교 수 돈 족 ( 矯 手 頓 足 )
손을 들고 발을 두드리며 춤을 춘다.
1. 바로잡고 3. 조아리며 2. 손과 4. 발을 올렸다 내렸다 하며 춤을 춘다.
바로잡을 교(矯). 굽은 것을 바로잡음, 들 교(矯). 높이 들어 올림. 교탈(矯奪; 속여 빼앗음). 교조(矯詔; 군 명이라고 속임), 손 수(手), 상지(上肢). 손목. 손잡이(把手), 잡을 수(手), 조아릴 돈(頓). 상대방을 존경하는 뜻을 표하거나 애원하느라고 머리를 자꾸 숙이다, 꺾일 돈(頓). 돈족(頓足, 발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 동작인데 뛰고 춤추는 것의 형용사 이기도 하다). 돈좌(頓挫). 가세가 갑자기 꺾임. stand still . 좌절함, 발 족(足).하지(下肢)는 복사뼈에서부터 아래쪽. 器物의 발같이 생긴 것. 정족(鼎足:솥의 발인데 서로 의지하여 보좌함), 산기슭 족(足). 산록(山麓;산 기슭), 족할 조(足). 충분함. 표준에 참,

216   열 예 차 강 ( 悅 豫 且 康 )
이상과 같이 마음편이 즐기고 살면 달란 한 가정이다.
1. 기쁜 3. 차에 2. 놀며 4. 편안하니 달란 한 가정이다.
기쁠 열(悅). 희열(喜悅; 기쁘고 기쁘다). 아주 기쁘다, 기뻐할 열(悅).열락(悅樂; 기뻐함). 아심칙열(我心則悅). 기뻐하며 복종함, 미리 예(豫), 기뻐할 예(豫).희열(喜悅), 놀 예(豫), 싫어할 예(豫), 예괘 예(豫). 예괘(豫卦;욕심사괘의 하나),또 차(且). 차득(且得; 그것은 그렇다 치더라도), 버금 차(且), 편할 강(康).안강(安康; 몸 또는 마음이 편안하다), 즐거울 강(康). 강락(康樂).
學習考: 여기에서 前句는 현대감각에서 보면 춤을 추며, 漢字의 속뜻이 아래사람이 윗사람과 사교를 하는 춤을 추는 자리이기도하고, 유유(類類) 끼리 즐기며 춤을 추는 분위기를 형용한 것 같기도 하는 양면적 사교범절이 고려된 글句 이기도 하다.
後句에서는 사교라 하기보다 가정의 안락과 평온함을 뿜기는 역시 손위사람과 아래사람이 즐겁게 범절을 차리며 예의를 가춘 분위기를 잘 형용이 된 글句이다. 아심칙열(我心則悅)의 뜻 하며,  <<후한서>>의 하창전(何敞傳)을 참고하면 "임금의 은택(恩宅)이 아래로 퍼져 모든 백성들이 즐거워 한다. 은택하사 서려열예[恩宅下賜 庶黎悅豫]등을 읽을 수 있다.

217   척 후 사 속 ( 嫡 後 嗣 續 )
적실 즉 장남은 뒤를 계승하여 대를 이룬다.
1. 적실의 3. 자손이 2. 뒤를 4. 이여 간다.
정실 적(嫡), 맏아들 적(嫡). 정실이 낳은 장남, 살적입서(殺嫡立庶; 적자를 죽이고 서자를 후사로 세움), 뒤 후(後). 후가(後嫁; 두 번째 시집을 가는 일), 후난(後難: 뒷날의 재난 혹은 후일의 비난), 아들 후(後) , 뒤질 후(後), 이을 사(嗣). 뒤를 이음, 續也. 繼也.習也 에서 익힐 사(嗣), 자손(子孫)에 관하여는 자손 사(嗣), 이을 속(續). 繼續함,

218   제 사 증 상 ( 祭 祀 蒸 嘗 )
제사하되 겨울제사는 증 이라 하고 가을제사는 상이라 한다.
1.제사하되 겨울제사는 3. 김이 나는 음식을 올리고 신곡을 올리는 2.제사는 4. 가을에 지내게 된다.
제사 제(祭). 제럐(祭禮, 祭祀의 儀式이다), 제사 사(祀). 제사(祭事; 제사에 관한 사항이다) , 제사 이름 증(蒸),찔 증(증). 증발(蒸發; 수증기 따위의 김이 올라감), 동제왈증(冬祭曰蒸; 겨울 제사를 蒸이라 함), 많을 증(蒸). 중다(蒸多)함. 천생증민(天生蒸民; 하늘은 많은 백성을 생산하게함), 맛볼 상(嘗). 음식의 맛을 봄. 먹음. 몸소 겪음. 구상간난(具嘗艱難), 일찍 상(嘗). 일찍이. 예전에. 항상 상(嘗). 언제나, 가을 제사 상(嘗). 가을에 신곡을 올려 지내는 제사,    
學習考: 嫡子와 庶子의 위상을 강조하는 점은 壹夫 多妻의 事例가 허다 할 때 강조해온 痕跡로 보아야 할 것이다. 자손이 이어지지 못하고 뒤가 끊어지다
를 후사(後嗣)가 없다고 하는 말은 많이 듣는 일이다. 글 뜻에서 익힐 사(嗣), 자손에 관하여는 이을 사(嗣), 자손 사(嗣)로 풀이함은 주목 할만하다.
겨울제사와 가을제사가 증제(蒸祭) 또는 상제(嘗祭)라 함은 계절에 따라 음식준비 하며 죽은 조상 섬기는 정성을 겨울은 추운 때라 더운 음식에 김이 나는 그대로를 제사 상에 울리고 가을에는 신곡으로 지은 음식물을 차려 놓고 의식(儀式)을 진행한다는 내용이다.

219   계 상 재 배 ( 稽 상 再 拜 )
이마를 조아려 선조에게 두 번 절한다.
1. 머리 숙여 3.두 번 2.이마가 땅에 닿도록 4. 절한다.
조아릴 계(稽)하면 돈수(頓首)함이니, 머리를 조아리는 정도를 이마가 땅에 닿도록 한다는 뜻이다.
여기에서는 윗 글의 217句 嫡後嗣續 을 받아서 부모의 상을 당 했을 때 하는 절(拜)인 것이다.  
머리 숙일 계(稽), 조아릴 계(稽). 돈수頓首함; 머리를 조아린다, 계수(稽首; 머리가 땅에 닿도록 공손히 절을 한다), 머무를 계(稽). 계류(稽留; 한 곳에 지체함), 상고할 계(稽). 계고(稽古;옛일을 상고함), 두 재(再), 절 배(拜)

220   송 구 공 황 ( 悚 懼 恐 惶 )
송구하고 공황하니 엄중 공경함이 지극함이라.
父母祥에 處하고보면 생존시에 불효한 일이 라서
1.송구하고, 3.공포감도 있고, 심적으로 2. 두렵기도 하고, 4.황공하니 두렵고 무섭기도 한 심정이고 보면 전부가 두렵기만 하다.
本句에서는 낫 글의 뜻이 모두 두려우니 부모상을 당한 때로 인식된다.
두려울 송(悚).황송(惶悚), 두려울 구(懼).공포를 느낌. 위구(危懼; 두려워함),두려울 공(恐). 공구(恐懼)하여 근심함, 두려울 황(惶). 몸씨 공구하여 어찌 할 줄 모름. 황공(惶恐). 지위나 위엄에 눌리어서 두렵고 무서움.
學習考:이 대목은 부모 초상을 당하거나, 제사를 맞는 당사자가 무거운 가계와 부모가 해 오던 일들 전수도 확실하지 못하며 嫡後嗣續의 책임감도 있거니와 부모 잃은 슬픔으로 매사가 두려움을 직감하며 효성 또한 지극함을 표현 한 것으로 보여진다.

221   전 첩 간 요 ( 餞 牒 簡 要 )
글과 편지는 간략함을 요다.
1. 문체는 3. 간략하고 2. 편지는 4. 요점만 쓴다.
文體; 1. 지은이의 사상이나 개성이 글의 문구 등에 표현된 독특한 성질. 지적내용이 같은 성질이면서도 언어 사용자의 성격적 발달로 그것이 부여하는 인상이 각각 차이를 표시하는 상태를 가리킴, 즉 스타일(style),
2. 글의 체제 . 구어체. 문어체. 논문체. 서한체. 서사체 따위.  
편지 전(전), 편지 첩(牒), 편지 간(簡), 구할 요)要
전牒簡要(전첩간요)
글과 편지(便紙)는 간략(簡略)함을 요한다.
편지 전, 전翰; 종이와 붓, 상소 전하면 군주에게 올리는 문서, 전奏 하면 천자에게 올리는 문서 이다.
아뢸 주(奏)
중국(中國) 문체(文體)의 하나 한(漢)ㆍ위(魏) 시대(時代)에는 天子ㆍ태자(太子)ㆍ帝王(제왕) 등(等)에 대한 상주문(上奏文)을 통틀어 이르던 말이었으며, 후세에는 황후(皇后)ㆍ태자(太子)에 대한 것을 이르던 말임
?문체이름 전(전),(文體名) 위의 文體에 關한 說明 參考要望
중국(中國) 문체(文體)의 하나 한(漢)ㆍ위(魏) 시대(時代)에는 天子ㆍ태자(太子)ㆍ帝王(제왕) 등(等)에 대한 상주문(上奏文)을 통틀어 이르던 말이었으며, 후세에는 황후(皇后)ㆍ태자(太子)에 대한 것을 이르던 말임

222   고 답 심 상 ( 顧 答 審 詳 )
편지의 회답도 자세히 살펴 써야 한다.
1. 유의해서 3. 알아야 할 것은 2. 답장을 4. 상세히 본다.
돌아볼 고(顧).고시(顧視;고개를 돌려 뒤를 돌아봄)
. 둘러본. 지난 일을 생각해봄. 유의함. 고려(顧慮;생각하고 헤아림), 돌보아 줄 고(顧), 대답 답(答), 갚을 답(答). 상대방의 경의에 보답, 살필 심(審), 궁구할 실(悉)悉也에서는 알 심(審),자세할 상(詳)
學習考:221句같은 경우는 1.3.2.4 순으로 뜻풀이를 하지 아니하고는 문체(文體)같은 깊은 뜻을 알아낼 수 없고 하나를 학습하면서 열(10)을 터득하는 방법을 찾기란 상상하기조차 어려울 것이다.
? 편지 전(전)字를 문체 전(전)字로 읽는다는 사실 규명은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사료 되기도 한다.
이 문체 전(전)字의 뜻은 바로 문체(文體)의 뜻 탐색에 이어지는 길 자비가 된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223   해 구 상 욕 ( 骸 垢 想 浴 )
몸에 때가 끼면 목욕하기를 생각하고
1. 몸 3.생각해서 2. 때 닦는 4. 목욕을 해야 하고.
뼈 해(骸), 몸 해(骸), 정강이 뼈 해(骸), 때 구(垢), 수치 구(垢), 생각할 상(想). 몽상부도(夢想不到). 꿈에도 생각할 수 없다, 목욕할 욕(浴). 욕불(浴佛; 석가가 탄생한 4월8일에 불상에 향수를 뿌리는 날),

224   집 열 원 량 ( 執 熱 願 凉 )
더우면 서늘하기를 원한다.
1. 아버지의 벗을 3. 청을 할 태면 2. 더우면 4. 시원하게 하라.
잡을 집(執). 손으로 쥠. 집필(執筆; 붓을 쥠), 벗 집(執). 부집(父執; 아버지의 벗. <집>은 아버지와 같은 뜻을 가진 사람이라는 뜻), 뜨거울 열(熱), 원할 원(願), 학자할 원(願), 바랄 원(願), 부러워할 원(願), 생각할 원(願), 청할 원(願), 서늘할 량(凉), 凉通에서는 바람이름 량(凉), 고을 이름 량(凉), 엷을 량(凉),도울 량(凉),믿을 량(凉); 諒通.
學習考: 위의 224句에서 "더우면 서늘하기를 원한다" 라고 뜻풀이를 한다면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敍事詩의 본질에 다소 멀어지는 너무나 가벼운 풀이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다시 글자 뜻을 탐색결과 잡을 집(執) 字를 벗 집(執)字로 읽는 뜻이 있으며, 부집(父執)이라 하면 아버지의 벗 하는 뜻을 볼 수 있어 願字亦是 本詩에서는 청할 원(願) 字로 뜻풀이 하는 것이 있을 수도 있다고 사료됨.
結論: 周興嗣의 千字文은 가벼운 뜻풀이 보다는 내용 면에서 무게있는 쪽으로 보는 것이 千字文 全文에 關하여 나타나고, 뜻풀이순서는 1. 3. 2. 4順 이 적중되는 학습으로 자리 잡아 가고있다.

225   려 라 독 특 ( 驪 騾 犢 特 )
나귀와 노새와 송아지, 즉 가축(家畜)을 말한다.
1. 나귀와 3. 송아지 2. 노새와 4. 수소 모두가 가축이다.
나귀 려(驪), 가라말 려 하면 검은 말, 나란히 할 려(驪). 수레에 두 필의 말을 나란히 매고 멍에를 에움, 노새 라(라)는 騎蓄驢 馬交生. 노새 라 하면 수나귀와 암말 사이에 혼혈 종, 나려 하면 노새와 나귀를 말함, 송아지 독(犢). 지독지애(지犢之愛; 어미 소가 송아지를 핥아서 사랑한다는 뜻으로 제 자식은 무조건 사랑한다는 것을 비유한 말),특별 특(特) 수소 특(特).소의 수컷. 동물의 수컷, 유다를 (特), 독특(犢特;송아지와 황소)  

226   해 야 초 양 ( 駭 躍 超 勷 )
뛰고 달리며 노는 가축(家畜)의 모습을 말한다.
놀랄 해, 뛸 약, 뛸 초, 달릴 양
뛰고 달리며  노는 가축의 모습을 말함
學習帳: 여기에 두 글句는 雜事로 前句는 가축의 種類을 말함이요, 後句는 1. 놀라서 3. 뛰고 2. 뛰며 4. 달리는 그 모습을 읊은 詩로 봄.

227   주 참 적 도 ( 誅 斬 賊 盜 )
역적과 도적을 베어 물리침.
1. 하늘이 치라 명한 3. 적자는 2. 참하고 4.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벌한다. (賊과 盜는 斬할 놈과 罰할 놈, 輕重을 가려서 處罰한다 로 구분 했다는 점이 주목 된다)
벨 주(誅). 죄인을 죽임. 주륙(誅戮). 풀 같은 것을 베어 버림,칠 주(誅).죄인을 토벌함. 천명주지(天命誅之;하늘이 치라 명함), 형벌 주(誅). 주상(誅賞;악한 사람을 벌하고 착한 사람을 칭찬함), 벨 참(斬). 참수(斬首), 끊어질 참(斬). 다함. 없어짐, 참쇠[(斬衰;거친 삼베로 지어 아랫단을 꿰매지 않은 상복). 도련하지 않은 상복 참(斬)], 도둑 적(賊). 남의 물건을 훔치는 사람, 학대할 적(賊).적자(賊子;큰 불효자. 부모를 죽인 자), 도둑 도(盜), 훔칠 도(盜). 도용(盜用). 부당한 수단을 써서 분수에 넘치는 것을 탐내어 얻음. 도명(盜名)

228   포 획 반 망 ( 捕 獲 叛 亡 )
배반(背反)하고 도망(逃亡)하는 자를 잡아 죄를 다스린다.
1. 포박(捕縛)한 3. 반역자(叛逆者)는 2.곤박(困迫)하니 4.망(亡)하게한다.
잡을 포(捕). 포획(捕獲; 신용을 얻다), 포박(捕縛; 사로잡다), 얻을 획(獲). 획득(獲得;얻고 또 얻으니 이는 사용), 곤박할 획(獲)事勢가 다급함, 붙잡을 확(攫) 같이 쓰인다, 배반할 반(叛), 망할 망(亡 ), 죽을 망(亡).
學習考: 本句에서는 제227句에서 斬首 云云 關連 對句로 當然코 嚴斷의 措置가 따르는 것을 形容한다. 本學習에서 1. 3. 2. 4 順의 뜻풀이를 하지 아니 했다면 困迫할 확(獲)字로 뜻하고 있음을 探索하지 못 했을 것으로 생각을 해 본다.  

229   포 사 료 환 ( 布 射 遼 丸 )
한나라 여포는 화살을 잘 쐈고 의료는 탄자를 잘 던졌다.
1.포와 3. 여는 사람이름의 끝자를 쓴 것이요, 2. 사와 4. 환은 화살과 탄자를 지칭 한 것이다.
(요약하면 呂布는 화살 잘 쏘고,宜遼는 환을 잘 던졌다).
여포(呂布)와. 의료(宜遼), 前者는 활잘 쏘고, 後者는 환을 잘 던졌다.
(呂布)는 삼국시대사람,(宜遼)는 전국시대 사람이다
.베 포(布). 漢나라의 여포(여포)라는 사람이다, 펼 포(布), 벌일 포(布), 쏠 사(射), 벼슬이름 야(射). 복야(僕射)라는 사람 이름으로 쓴 것, 멀 요(遼), 어여쁠 요(遼), 희롱할 요(遼), 本句에서는 웅의료(熊宜遼)라는 사람 이름 이다, 알 환(丸). 장난감의 하나로서 모양이 둥글고 잘 구름 농환(弄丸)이라 하여 구슬을  공중에 던졌다가 내려오는 것을 받는 놀이.

230   혜 금 완 소 ( 嵇 琴 阮 嘯 )
위국 혜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玩籍은 휘파람을 잘 불었다
1.혜는(혜康)이요, 3.완적(玩籍)이다(사람 이름), 전자는 2. 거문고를 잘 타고,후자는 4. 휘파람을 잘 불었다.
메 혜(혜), 거문고 금(琴), 성 완(阮),이름 완(阮), 휘파람 소(嘯)
學習考: 여기에서 실감나는 부분은 작시할 때 글자를 1. 3. 2. 4 순의 배치 하며 四言古體詩는 이런 것이다 하는 것과, 두 사람의 이름字中 앞字를 각각 1. 3. 위치에, 두 사람 각각 선호하는 장끼를 2. 4 위치에 기표한 것을 본다. 그리고 이 대목은 중국 옛 기록 중 한 토막 있었든 일을  四言古體詩 이자, 문체로는 서사체(敍事體)로 된 것을 오늘날에 보고 감상하는 千字文이 되니 더더욱 학습에 도움되었다. 그리고 천자문 230구에 이르기까지 學習한 모든句에서 한결같이 글자 배치를 1. 3. 2. 4 순으로 한 것과 뜻풀이에 의문점이 없었다는 사실은  크게 학습도움이 되었다.
(통용 말로 표현, 뜻풀이, 요약)로 구분이 된다.

231   염 필 륜 지 ( 恬 筆 倫 紙 )
진국 蒙恬은 토끼 털로 처음 붓을 만들었고 후한(後漢) 蔡倫은 처음 종이를 만들었다.
1. 염은 진국의 몽염(蒙恬)이요, 3. 륜  後漢의 채
윤(蔡倫)이다. 前者는 토끼털로 처음 2. 붓을 반들 고, 後者는  처음 4. 종이를 만들었다.
요약: 蒙恬 처음 붓을 만들었고, 蔡倫은 처음 종이를 만들었다.
편할 염(恬), 붓 필(筆), 인륜 륜(倫), 종이 지(紙)

232   균 교 임 조 ( 鈞 巧 任 釣 )
위국 마鈞은 指南車를 만들고 전국(戰國) 시대(時代) 任公子는 낚시를 만들었다.
1. 鈞은 위국의 마鈞이요,  3. 任은 전국시대(戰國時代) 任公子 이다.
2. 전자는 指南車를 만들었고, 4. 任公子는 낙씨를
만들었다.(여기에서 마 균의 마는 漢字 표시가 없다)
요약: 마鈞은 指南車를 만들었고, 任公子는 낙씨를
만들었다.(任公子는 낙씨로 유명한 사람)
무거울 균(鈞), 공교할 교(巧), 맡길 임(任), 낙씨 조(釣)
學習考:恬하면 몽염(蒙恬)을 가리키고, 筆은 조필(造筆)곧 붓을 만들었다는 뜻이다.蒙恬은 명장이나 붓을 만드는 방법을 整齊한 사람이다.
윤지(倫紙)하면 채윤(蔡倫)이 종이를 만들었다는 뜻의 약어이다. 蔡倫은 後漢때의 환관(宦官)이다. <<석명(釋名)>>에 보면 "종이는 지(砥)이니 평평하고 매끄러운 이 마치 숫돌과 같다. 지지야 평활여지석야(紙砥也 平滑如砥石也)라 했다. 누에고치에서 나오는 솜을 원료로 하여 이것을 대발 위에 얇게 펴놓고 물에 적셔서 만들었다.그렇기 때문에 지금처럼 나무껍질이나 펄프를 가지고 만드는 종이와는 바탕이 다르다.
균교(鈞巧) 鈞은 마鈞 이라는 사람을 가리킨다. 마균은 한나라 때의 사람인데 그 교묘한 재주가 세상에 뛰어나 지남차(指南車;수레 위에 신선의 목상<木像>을 얹고 그 손의 손가락이 늘 남쪽을 가리키게 만든 수레로 고대 중국에서 나침반의 역할을 했다)를 만들었다고 한다.
任釣 任은 (任公子) 를 가리키고, 조(釣)는 낚시질을 가리킨다.任公子는 낚시질로 유명한 사람이다.
일기(一技)에 능한 사람은 세인을 유익하게 하는 것이다. 일인일기(一人一技)의 중요성을 강조한 구절이다.    

233   석 분 리 속 ( 釋 紛 利 俗 )
註釋:以上 八人의 재주를 다하여 어지러움을 풀어 풍속에 이롭게 하였다.
글 뜻풀이:1. 풀어서 3. 이롭고 2. 많은 4. 풍속을 이루었다.
要略:아래에 표기한  八人의 각각 다른 장기를 이롭게 풀어서 행하는 俗을 만들었다.
낫 글 뜻 : 釋은 置也에서 둘 석(釋), 註解에는 주낼 석(釋).본문의 뜻을 알기 쉽게 註解를 달아 풀이함. 또는 (註釋; 이해하기 쉽도록 풀이함.(notes). (annotation),
몇 사람의 연구가 풀어서 발명품이 나온 결과로 많은 이들이 이익을 보게 되니 미풍양속도 함께 전해진다는 뜻이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229句에서 呂布의 화살 잘
쏘는 뛰어난 武藝와 宜遼의 환 잘 던지는 놀이의 개발은 민속놀이로 즐기는 가락을 보였다.
230句에는 혜금완소(혜琴阮嘯)에서 혜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阮籍은 휘 바람을 잘 불어 口技를 보여 즐겁게 했다
魏國 혜강(혜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阮籍은 휘파람을 잘 불었다
231句에서 몽염(蒙恬)은 토끼털로 붓을 만들었고,  蔡倫은 종이를(製紙技術)개발.
232句에서 마鈞은 指南車를 만들고, 任公子는 낚시를 만들었다.
염필륜지(恬筆倫紙) 진구의 蒙恬은 토끼털로 처음 붓을 만들었고 후한(後漢) 蔡倫은 처음 종이를 만들었다.
여기에서는 앞에 읊은 230句에서 234句까지가 즉(115對句~117對句)의 技巧人들의 發明 業積을 높이評價함과 그로 因하여 어려운 亂局을 풀고 이로운 風俗을 남겨 豊饒로 움을 나타낸 것으로 小數人의 기발한 發明品들로 하여금 많은 분을 이롭게 하고 좋은 풍속을 남게 했다는 뜻이다.
놓을 석(釋), 풀 석(釋). 의심이나 오해가 사라지다
, 벗을 석(釋).석의(釋衣;옷을 벗음), 석가 석(釋). 널리 승려라는 뜻으로도 쓰임, 번잡할 분(紛), 어지러울 분(紛). 분분(紛紛), 많을 분(紛), 이로울 리(利). 편리(便利), 날카로울 리(利). 예리(銳利), 이익 리(利). 사리(私利), 힘 리(利). 권리(權利), 승전 리(利). 승리(勝利), 풍속 속(俗), 익을 속(속), 속될 속(俗). 속악(俗惡; 고상하지 못하고 천하게 보임),

234   병 개 가 묘 ( 竝 皆 佳 妙 )
註釋:모두가 아름다우며 묘한 재주였다.
글 뜻풀이:1. 아름답고 3. 아름다운 2. 다가 4. 묘한 재주였다.
要略: 위의 八人의 펼친 재주는 다 아름답다.
낫 글 뜻:아우를 병(竝), 다 개(皆), 아름다울 가(佳), 묘할 묘(妙) 學習考:위의 학습은 매우 힘 드는 내용이다. 그 이유는 229句에서 232句까지 읊은 內容을  두글句에 나타냈다는 것은 풀이를 매우 어렵게 했지만 뜻풀이의 원칙에 따라 많은 글 뜻을 깔아 놓고 보면 가장 합리적이고 정확한 표현과 요약을 할 수 있었다.이
대목은 위에서 擧名된 8名의 技巧人들이 中國의 梁나라 周興嗣의 敍事詩을 타고 後世에 까지 그 이름이 傳해지는 구나.

235   모 시 숙 자 ( 毛 施 淑 姿 )
모의 모타 라는 여자이고 시는 월의 施라는 여자인데 모두 절세 미인이었다.
1.毛타라는 3.말고 2.월의 施는 4. 자태사(姿態嗣) 아름답다. 여자가 맑고 아름다우면 절세미인이다.
털 모(毛), 베풀 시(施), 맑을 숙(淑), 모양 자(姿)

236   공 빈 여 소 ( 工 嚬 姸 笑 )
이 두 미인(美人)의 웃는 모습이 매우 곱고 아름다웠다.
교묘하게 웃는 미인들의 웃는 모습은 아름 답다.  
모시(毛施) 모장(毛장)과 서시(西施)의 兩稱이다.毛장에 대해서는 <<석문>>에 모장(사람이름)은 옛날의 미인인데 越王 句踐이 사랑하던 여인이다. (毛古美人 一曰越王麗嬉)라고 하였다.西施는 절강성(浙江省) 저라산(苧羅山)의 나무꾼의 딸이었는데 서자(西子)라 고도 한다.월왕(越王) 구천(句踐)이 회계(會稽)의 싸움에서 패하자 월(越) 나라에서는 절세미인 西施를 선발하여 오왕(吳王)부차(夫差)에게 바침으로써 吳 나라의 정치를 어지럽게 했다.<<관자(管子)>> 소칭(小稱)에서 모장(毛장)과 서시(西施)는 천하의 미인이다.
(毛장 西施  天下之美人也)라 하였으니 말하자면 모시(毛施)란 미인의 대명사이다.
숙자(淑姿) 정숙한 맵시, 공빈(工嚬)당나라 사람 여
향(呂向)교소공빈(巧笑工嚬)에서 나온 말로 눈살을 찌푸리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연소(姸笑)하면 곱게 웃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교묘할 공(工), 장인 공(工). 물건을 만드는 사람, 찡그릴 빈(嚬).찌푸림, 고울 연(姸). 연려(姸麗; 예쁘고 고움). 깨끗함, 예쁠 연(娟), 예쁠 연(姸).웃음 소(笑). 함소(含笑; 웃음을 먹음)
學習考: 中國의 史話를 모르고는 글 풀이가 될 수없는 내용들도 있거니와 아무리 보아도 敍事體로 깔끔하게 千字를 소화시킨 大敍事詩의 내용은 學習者로 하여금 크게 도움되는 것이다.

237   년 시 매 최 ( 年 矢 每 催 )
세월이 빠른 것을 말함. 즉 화살같이 매양 재촉함.
1. 해 3. 마다 2. 화살 같이 4. 죄어침; 제촉. 몰아치다(tighten). 즉 세월은 멈출 을 모르며 쉬지 아니하고 흐른다는 뜻이다.
年年 歲歲 12월을 향해 한결같이 제촉 받은 것처럼 매양 지나간다는 것을 표현한 것임. (화살이 着點까지 멈출 줄 모르고 제촉 받은 것처럼 빠르게 간다는데 비유한 말이다)
해 년(年). 년연 세세(年年歲歲). 12개월, 화살 시(矢). 궁시(弓矢;화살과 활), 맹세할 시(矢). 시언(矢言; 맹세의 말), 매양 매(每). 늘 . 번번이, 탐낼 매(매), 우거질 매(每). 풀이 무성한 모양, 재촉할 최(催). 죄어침. 최고(催告;재촉하는 뜻의 통지), 일어날 최(催).생겨남.

238   희 휘 랑 요 ( 羲 暉 朗 曜 )
태양빛과 달빛은 세상을 비추어 만물에 혜택을 주고 있다.
1. 羲는 희아(羲娥; 해와 달)요, 3. 朗은 달 밝음의 뜻이요 , 2. 暉는 햇빛 밝음이니 환하고, 4. 日光 빛과 日月五星七曜가 있다.
1.해와 달 빛은 3. 환하며 온 2. 光비추어 혜택을 주고 4. 日月五星七曜가 있다.
복희 희(羲), 햇빛 희(羲). 희아(羲娥; 해와 달), 숨 희(羲), 빗날 휘(暉).日光 햇빛 휘(暉), 發光빛날 휘(暉), 휘(煇)와 같은 자 , 밝을 랑(朗). 환하고 밝음. 낭월(朗月), 日光照에 해 비칠 요(曜), 光也照耀 빛날 요(曜), 日月五星七의  요일 요(曜).
學習考:238句의 羲暉朗曜에서 周興嗣의 學文이 갈 수록 돋보이는 증표가 아닌가 하는 생각에 푹 빠지게 한다. 特히 羲의 羲娥를 (해와 달) 표현해주는 깊은 의미는 千字文 學習을 하는 것으로 接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暉朗曜에도 햇빛과 달빛 그리고 朗은 朗月을 意未하는 대목이 매우 興味롭 다. 하여 1. 3. 2. 4 뜻풀이 順序와 글字의 屬性을 가려 壹의 글句 및 對句關係의 相互混成位置 確認에 따르는 意未를 學習에 反影(reflection)한 結果가 큰 도움이 되었다.

239   선 기 현 알 ( 旋 璣 懸 斡 )
선기는 천기를 보는 기구이고 그 기구가 높이 걸려 도는 것을 말함.
돌 선(旋), 옥 선(旋; 고대의 천문을 관측할 때 사용한 기계를 지칭한 글자 ),별 이름 선(旋). 북두칠성의 둘째 별, 구슬 기(璣), 선기 기(璣). 선기(璿璣)는 古代의 天文을 관측하는 혼천의(渾天儀)의 원형으로 되어 회전하는 부분, 둥글지 않은 구슬, 별
이름 기(璣)는 북두칠성의 셋째별,매달 현(懸). 현수(懸垂; 매닮), 걸 현(懸). 현구(懸購; 현상금을 걸고 목적물을 구함), 현격할 현(懸), 현절(懸絶;서로 동떨어짐), 돌 알(斡은 斗部의 10畵과 같은 字로 轉也에 구를 간 斡. 柄也에 자루간 斡; 回轉하는 軸(굴대; shaft)을 말함,
속성을 보면 旋은 천문관측기계를 지칭하는 글字요, (形容의 관계)懸은 천문관측 機械중 한部分의 부속 裝着 방법이다.(形容의 관계) 璣는 古代의 天文觀測機인 渾天儀의 원형으로 된 회전하는 부품 이다.(物의 관계)斡은 역시 天文 觀測機에 들어가는 (軸; shaft)이다.(物의 관계)

240   회 백 환 조 ( 晦 魄 環 照 )
달이 고리와 같이 돌며 천지를 비치는 것을 말함.
그믐 회(晦). 음력의 매월 말일. 晦朔; 그믐과 초하루, 어둠 회(晦). 회야(晦夜;어둠의 밤). 사람정신의 음에 속하는 부분. 양에 속하는 것은 魂이다, 넋 백(魄), 달 백(魄)로 읽을 때 월영(月影: 달 그림자) 고리 환(環). 이환(耳環;귀 고리), 옥 환(環). 패환(佩環; 고리모양의 옥), 비칠 조(照). 석조(夕照; 저녁 해)
속성을 보면 晦는 매달 초하루 밤과 末日 밤은 어둠을 의미하고 달이 없음을 뜻 함이요, 달이 없을 때의 形容語 관계이다.
環 은 달의 移動 형상이 고리 形像임을 말하는 것으로 그 形容語 관계이다.
魄을  달 백(魄)字로 읽을 때는 월영(月影; 달의 그림자) 이니 달이라는 物體와 직접관계이다.
照 는 天地를 비추는 달을 말하며 달이라는 物體 이다.
學習考:239句와 240句는 매우 어려운 글귀였으나 잘 내용을 보면 우주와 천체의 온 갓 형상(astronomical phenomena)을 파악하기 위한 機械에 관한 것과 북두칠성 과 달의 움직임, 관련하는 故로 글字의 낫 뜻을 그 속성별로 가리기란 1.3.2.4 順位 기준 없으면  종잡을 수 없는  혼돈이 있을 수 있는 내용이다. 그리고 우주공간의 천체와 天文學에 關連되는 詩文 이라는 점에서 선명한 언급이 되기는 너무나 어려운 대목임.

241   지 신 수 우 ( 指 薪 修 祐 )
불타는 나무와 같이 熱로 도리를 닦으면 복을 얻는다.
1. 指意 3. 修身을  2. 불타는 나무와 같이 하면 4. 복을 받는다.
요약해서 말하면 1. 指가리켜 3. 修수양을 2. 薪정열로 다하면 4. 祐복받는다.   (바꾸어 말 하면 현인적 처신을 하면 복 받는다)
귀취야(歸趣也)는 귀착(歸着)이요 마치 외항선이 항구에 도착하여 머무르듯 돌아와 닿음. returning, 의논 . 意見등 여러 경로를 거쳐 어떤 결말에 다다름. 사람들의 소망을 행복으로 歸着케 한다.
指意 修身; 가리켜 악을 물리치고 선을 북돋우어 마음과 行身을 바르게 닦아 수양함. (moral training)
땔나무는 정열적으로 불에 타는 것이 기본이다.
손가락 지(指), 곤두설 지(指), 가리킬 지(指). 지도(指導), 歸趣也에 뜻 지(指). 지의(指意), 나무 신(薪), 땔나무 신(薪). 섶 연료로 하는 초목. 신수薪水; 땔나무와 마실 물), 닦을 수(修). 수우(修祐; 몸을 닦으면 하늘의 俸祿을 받아 행복을 누린다는 뜻)수학(修學; 학업을 닦음), 다스릴 수(修). 수리(修理; 사물을 잘 다듬음), 어진 이 수(修). 옛날의 현인. 수(脩)와 통용,  도울 우(祐), 복 우(祐).행복.俸祿.

242   영 유 길 소 ( 永 綏 吉 邵)
그리고 영구히 편안하고 길함이 높으리라.
1. 영구히 3. 길하고 2. 편안함과 4.이름 높은 것이라.
길 영(永), 편안할 유(綏).安也에 수 또는 유로 쓰임, 길할 길(吉). 길사(吉事). 길흉(吉凶). 길안(吉安). 길조(吉鳥), 높을 소(邵),고을 이름 소(邵).

243   구 보 인 령 ( 矩 步 引 領 )
걸음을 바로하고 따라서 얼굴도 바르니 位儀가 당당하다.
법 구(矩), 걸음 보(步), 끌 인(引), 차지할 령(領)

244   부 앙 랑 묘 ( 俯 仰 廊 廟 )
恒常廊廟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머리를 숙여 예의를 지키라.
급을 부(俯), 우러를 앙(仰), 행랑 랑(廊), 사당 묘(廟)

245   속 대 긍 장 ( 束 帶 矜 莊 )
의복에 주의 하여 단정히 하므로 써 긍지를 갖는다.
묶을 속(束), 띠 대(帶), 자랑 긍(矜), 씩씩할 장(莊)

246   배 회 첨 조 (徘 徊 瞻 眺 )
같은 장소를 배회하며 선후(先後)를 보는 모양이다.
배회 배(徘), 배회 회(徊), 볼 첨(瞻), 볼 조(眺)

247   고 루 과 문 ( 孤 陋 寡 聞 )
하등의 식견도 재능도 없다 천자문 저자가 자기자신을 겸손해서 말 한 것이다. 외로울 고(孤), 더러울 루(陋), 적을 과(寡), 들을 문(聞)

248   우 몽 등 초 ( 愚 蒙 等 誚)
적고 어리석어 몽매함을 면하지 못한다는 것을 말함
.어리석을 우(愚), 어릴 몽(蒙), 등급 등(等),꾸짖을 초(誚)

249    위 어 조 자 ( 謂 語 助 者 )
語助라 함은 한문의 조사(助詞) 즉 다음 글자이다.
1. (謂) 일컬어 3. (助) 유의 하는 2.(語)論難의 4. (者)자 인지라
이를 위(謂). 이야기함. 고함. 평론함. 비평함. 논란할 어(語).론 난(論難; 잘못된 것을 론 하여 비난함), 말씀 어(語). 이야기함. 답화를 함. 식불어 침불어(食不語 寢不語; 식사를 대하여 이야기 하지 않으며 자면서 말 하지 않음),도울 조(助). 힘을 빌림
, 유의할 조(助). 유심(留心; 마음에 두어 주의 하거나 관심을 둠). (attention), 놈 자(者). 사람에 대해 이者. 저者. 仁者. 不良者. 善한者. 惡한者, 것者; 앞의 것. 뒤의 것. 前者. 後者, 곳者; 장소를 가리킴,어조사 자(者). 語勢를 강하게 하기 위하여
쓰는 助辭, 불연자
(不然者; 그러하지 않다면).  

250    언 재 호 야 ( 焉 哉 乎 也 )
焉. 哉. 乎. 也  이 네글字는 즉 語助辭이다. 이 四字는 너무나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여 지며 생각이 닿는 데로 풀이를 해 본다면 ?
1. (焉)어디 3. 오호 호(乎)가 2. (哉)비로소 4.잇기.야(也)라 하면 本句에서는 焦點이 어조사 호(乎)
, 오호 호(乎). 字는 오호(五胡)를 연상케 하는 것.
첫 번째에 五胡하면 역사적 관점에서 中國 漢, 晉 무렵 서북방에서 중국 본토에 이주하여 흥망을 거듭한 변방의 다섯 민족, 곳 흉노계(匈奴系)의 匈奴와 갈(鞨), 몽고(蒙古)系와, 틍크스系의 혼혈(混血)한 티베트系의 저(저) 강(羌)의 다섯 가지 이민족(異民族)설음을 생각해본다.
두 번째 오호(嗚呼)는 슬플 때나 탄식할 때에 내는 소리, 아  오 등의 소리.
세 번째 오호 애재(哀哉; 아아 슬프도다.)
네 번째 오호 통재(痛哉; 아아 슬프고 원통하다), 여기서 오호(五胡)를 我也의 나 오(吾)로 바꾸어 오호통재(吾呼痛哉)로 보면 나를 청하여(吾呼) 周興嗣의 슬픔이 五胡에 관련하는 異民族설음과 슬픔에 비유를 하리요, 그러나 자신의 안전을 위하여 오호 호(乎)로 위장하여 슬픔에 비유하는 것을 오호 호字로 위장한 것이 아닐 는 지?. 상상을 해 보면 千字文이라 부르기 前에 白首文이라 알려진 사연이 바로 周興嗣의 千字文 作詩와 關連한 苦痛의 痕跡이 안일는지?.....焉哉乎也를 단순하게 千字文 끝句로 語助辭의 意未로 끝을 맺는 것은 여운(餘韻)이 남을 법하다. (이는 學習者의 學習上의 推理思惟作用과 旣知判斷의 前提일뿐 다른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역사 中國에서 서진(西晉)말에서 남북조(南北朝)시대에 이르기 까지 五胡와 漢民族이 중국북부에 세운 16국 그 시대의 명칭.
다섯 번째 오호 호(乎)는 간드러지게 웃는 여자의 웃음소리?(자신의 비통함에 반항적 웃음).
①저성(저星) ②오호(五胡)의 하나. 선진(先秦) 시대(時代)에서 중국(中國)의 서쪽 변경에 근거(根據)를 두었던 티벳 계(系)의 한 종족 위수(渭水)ㆍ한수(漢水)의 상류역(上流域)에서 사천성(四川省)의 북부(北部)에 흩어져 있다 가 진(晋)나라 말엽(末葉) 이후(以後), 성(成:뒤의 漢)ㆍ전진(前秦)ㆍ후량(後凉)의 세 나라를 세웠음. 수(隋)나라 때부터 민족(民族)의 독립성(獨立性)을 잃었고,...  
어찌 언(焉), 어조사 언(焉), 어디 언(焉), 이끼 재(哉), 비로소 재(哉), 어조사 재(哉). 단정하는 말. 탄미(嘆美)하는 말; 감탄하여 크게 칭찬하고 기림(admiration). 의문사. 반어사, 은 호(乎), 어조사 호(乎), 오호 호(乎). 감탄사, 잇기 야(也), 어조사 야(也). 句末에 힘써 결정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 어간(語間)에 넣어 竝說하는 助辭. 의문에 쓰이는 助辭.형용의 의미를 강하게 하는 助辭. 무의미한 助辭 .탄식의 뜻을 나타내는 助辭.
學習考: 249句와 250句는 周興嗣가 千字文을 하로 밤사이에 저작을 하게 된 동기를 고려하면 충분히 125對句에서 五胡痛哉 비유를 하고도 남는  심정이 이해 가는 대목이다. 과연 千字文은 周興嗣의 슬픔과 원통함이 白首文이라 전해온 말로 그 실황을 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한글 - 영문 표기법

가 ga 각 gak 간 gan 갈 gal 감 gam 갑 gap 갓 gat 강 gang 개 gae 객 gaek 거 geo 건 geon
걸 geol 검 geom 겁 geop 게 ge 겨 gyeo 격 gyeok 견 gyeon 결 gyeol 겸 gyeom 겹 gyeop
경 gyeong 계 gye 고 go 곡 gok 곤 gon 골 gol 곳 got 공 gong 곶 got 과 gwa 곽 gwak 관 gwan
괄 gwal 광 gwang 괘 gwae 괴 goe 굉 goeng 교 gyo 구 gu 국 guk 군 gun 굴 gul 굿 gut 궁 gung
권 gwon 궐 gwol 귀 gwi 규 gyu 균 gyun 귤 gyul 그 geu 극 geuk 근 geun 글 geul 금 geum
급 geup 긍 geung 기 gi 긴 gin 길 gil 김 gim 까 kka 깨 kkae 꼬 kko 꼭 kkok 꽃 kkot 꾀 kkoe
꾸 kku 꿈 kkum 끝 kkeut 끼 kki



나 na 낙 nak 난 nan 날 nal 남 nam 납 nap 낭 nang 내 nae 냉 naeng 너 neo 널 neol 네 ne
녀 nyeo 녁 nyeok 년 nyeon 념 nyeom 녕 nyeong 노 no 녹 nok 논 non 놀 nol 농 nong
뇌 noe 누 nu 눈 nun 눌 nul 느 neu 늑 neuk 늠 neum 능 neung 늬 nui 니 ni 닉 nik 닌 nin 닐 nil
님 nim



다 da 단 dan 달 dal 담 dam 답 dap 당 dang 대 dae 댁 daek 더 deo 덕 deok 도 do 독 dok
돈 don 돌 dol 동 dong 돼 dwae 되 doe 된 doen 두 du 둑 duk 둔 dun 뒤 dwi 드 deu 득 deuk
들 deul 등 deung 디 di 따 tta 땅 ttang 때 ttae 또 tto 뚜 ttu 뚝 ttuk 뜨 tteu 띠 tti



라 ra 락 rak 란 ran 람 ram 랑 rang 래 rae 랭 raeng 량 ryang 렁 reong 레 re 려 ryeo 력 ryeok
련 ryeon 렬 ryeol 렴 ryeom 렵 ryeop 령 ryeong 례 rye 로 ro 록 rok 론 ron 롱 rong 뢰 roe 료 ryo
룡 ryong 루 ru 류 ryu 륙 ryuk 륜 ryun 률 ryul 륭 ryung 르 reu 륵 reuk 른 reun 름 reum 릉 reung
리 ri 린 rin 림 rim 립 rip



마 ma 막 mak 만 man 말 mal 망 mang 매 mae 맥 maek 맨 maen 맹 maeng 머 meo 먹 meok
메 me 며 myeo 멱 myeok 면 myeon 멸 myeol 명 myeong 모 mo 목 mok 몰 mol 못 mot 몽 mong
뫼 moe 묘 myo 무 mu 묵 muk 문 mun 물 mul 므 meu 미 mi 민 min 밀 mil




바 ba 박 bak 반 ban 발 bal 밥 bap 방 bang 배 bae 백 baek 뱀 baem 버 beo 번 beon 벌 beol
범 beom 법 beop 벼 byeo 벽 byeok 변 byeon 별 byeol 병 byeong 보 bo 복 bok 본 bon 봉 bong
부 bu 북 buk 분 bun 불 bul 붕 bung 비 bi 빈 bin 빌 bil 빔 bim 빙 bing 빠 ppa 빼 ppae 뻐 ppeo
뽀 ppo 뿌 ppu 쁘 ppeu 삐 ppi


사 sa 삭 sak 산 san 살 sal 삼 sam 삽 sap 상 sang 샅 sat 새 sae 색 saek 생 saeng 서 seo
석 seok 선 seon 설 seol 섬 seom 섭 seop 성 seong 세 se 셔 syeo 소 so 속 sok 손 son 솔 sol
솟 sot 송 song 쇄 swae 쇠 soe 수 su 숙 suk 순 sun 술 sul 숨 sum 숭 sung 쉬 swi 스 seu
슬 seul 슴 seum 습 seup 승 seung 시 si 식 sik 신 sin 실 sil 심 sim 십 sip 싱 sing 싸 ssa
쌍 ssang 쌔 ssae 쏘 sso 쑥 ssuk 씨 ssi


아 a 악 ak 안 an 알 al 암 am 압 ap 앙 ang 앞 ap 애 ae 액 aek 앵 aeng 야 ya 약 yak 얀 yan
양 yang 어 eo 억 eok 언 eon 얼 eol 엄 eom 업 eop 에 e 여 yeo 역 yeok 연 yeon 열 yeol
염 yeom 엽 yeop 영 yeong 예 ye 오 o 옥 ok 온 on 올 ol 옴 om 옹 ong 와 wa 완 wan 왈 wal
왕 wang 왜 wae 외 oe 왼 oen 요 yo 욕 yok 용 yong 우 u 욱 uk 운 un 울 ul 움 um 웅 ung 워 wo
원 won 월 wol 위 wi 유 yu 육 yuk 윤 yun 율 yul 융 yung 윷 yut 으 eu 은 eun 을 eul 음 eum
읍 eup 응 eung 의 ui 이 i 익 ik 인 in 일 il 임 im 입 ip 잉 ing


자 ja 작 jak 잔 jan 잠 jam 잡 jap 장 jang 재 jae 쟁 jaeng 저 jeo 적 jeok 전 jeon 절 jeol 점 jeom
접 jeop 정 jeong 제 je 조 jo 족 jok 존 jon 졸 jol 종 jong 좌 jwa 죄 joe 주 ju 죽 juk 준 jun 줄 jul
중 jung 쥐 jwi 즈 jeu 즉 jeuk 즐 jeul 즘 jeum 즙 jeup 증 jeung 지 ji 직 jik 진 jin 질 jil 짐 jim 집 jip
징 jing 짜 jja 째 jjae 쪼 jjo 찌 jji


차 cha 착 chak 찬 chan 찰 chal 참 cham 창 chang 채 chae 책 chaek 처 cheo 척 cheok
천 cheon 철 cheol 첨 cheom 첩 cheop 청 cheong 체 che 초 cho 촉 chok 촌 chon 총 chong
최 choe 추 chu 축 chuk 춘 chun 출 chul 춤 chum 충 chung 측 cheuk 층 cheung 치 chi 칙 chik
친 chin 칠 chil 침 chim 칩 chip 칭 ching


코 ko 쾌 kwae 크 keu 큰 keun 키 ki


타 ta 탁 tak 탄 tan 탈 tal 탐 tam 탑 tap 탕 tang 태 tae 택 taek 탱 taeng 터 teo 테 te 토 to 톤 ton
톨 tol 통 tong 퇴 toe 투 tu 퉁 tung 튀 twi 트 teu 특 teuk 틈 teum 티 ti


파 pa 판 pan 팔 pal 패 pae 팽 paeng 퍼 peo 페 pe 펴 pyeo 편 pyeon 폄 pyeom 평 pyeong
폐 pye 포 po 폭 pok 표 pyo 푸 pu 품 pum 풍 pung 프 peu 피 pi 픽 pik 필 pil 핍 pip


하 ha 학 hak 한 han 할 hal 함 ham 합 hap 항 hang 해 hae 핵 haek 행 haeng 향 hyang 허 heo
헌 heon 험 heom 헤 he 혀 hyeo 혁 hyeok 현 hyeon 혈 hyeol 혐 hyeom 협 hyeop 형 hyeong
혜 hye 호 ho 혹 hok 혼 hon 홀 hol 홉 hop 홍 hong 화 hwa 확 hwak 환 hwan 활 hwal 황 hwang
홰 hwae 횃 hwaet 회 hoe 획 hoek 횡 hoeng 효 hyo 후 hu 훈 hun 훤 hwon 훼 hwe 휘 hwi
휴 hyu 휼 hyul 흉 hyung 흐 heu 흑 heuk 흔 heun 흘 heul 흠 heum 흡 heup 흥 heung 희 hui
흰 huin 히 hi 힘 hi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사자료실 안내 [1] 관리자 2005-01-05 37536
91 고종 칙명 imagefile [63] id: 광원광원 2010-02-19 11853
90 카페지기는 자기를 의성 김씨라고 말 할 수 있는가? [2] * 2010-02-09 13507
89 항일지사 金 在 龜 image [1] id: 광원광원 2010-02-03 12874
88 삼십육계(三十六計) id: 광원광원 2009-08-11 12174
» 천자문 해설 - 3 [3008] id: 광원광원 2009-02-10 75408
86 天字文 解說 - 2 [405] id: 광원광원 2009-02-10 37844
85 천자문 해설 - 1 id: 광원광원 2009-01-19 29027
84 노자의 도덕경에서 - 삼보 id: 광원광원 2009-01-16 11235
83 菜근譚 id: 광원광원 2009-01-07 16003
82 경순대왕님의 4子이신 錫 할아버님에 대한 자료 imagefile 김홍엽 2007-08-27 13618

  • 서울시 강서구 화곡5동 95-54 (신도로명주소:화곡로229)문소빌딩 5층 02)796-5322 fax 02)797-9511 eskim5323@naver.com
    Copyright by Internet Total Infomation Center (인터넷종합정보센터)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김이오.넷 (金在洙)
XE Login